전선위에 앉아있는 새들의 경우 어째서 감전되지 않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
전선위에 앉아있는 새들의 경우 어째서 감전되지 않는건지 궁금합니다.
떨어지지도 않고 잘만 있던데요,,, 어떻게 아무렇지도 않게 잘 앉아있을수가 있나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흐르기 위해서는 전선과 지면 또는 다른 전선 사이에 경로가 필요합니다. 새가 전선 위에 앉아 있을 때, 그들은 전선과 지면 사이에 전기 회로를 완성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새가 하나의 전선만에 앉아있을 경우 감전되지 않습니다.
전선의 저항은 매우 낮아 0에 가까운데 새는 저항이 크기 때문입니다.
새가 한 전선을 두 다리로 잡고 앉을 경우 새도 하나의 회로가 됩니다.
이 경우 병렬연결된 전선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병렬연결의 경우 각 회로의 저항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달라집니다.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하기 때문입니다.
한 전선에 앉아있기 때문에 전위차는 없고, 새는 저항이 크고 전선은 저항이 0이므로 새에게는 매우약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래서 몸에 이상이 있을만큼 강한 전류가 흐를 수 없습니다.
다만 새가 두 전선에 걸쳐서 앉는다거나, 전선에 앉아있으면서 지면과 연결된 전봇대 같은 곳에 닿으면 감전됩니다.
고압전선에는 22900V 정도의 강한 전압을 가지며 지면은 전압이 0V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큰 전위차가 생기며 새에게 엄청난 전류가 흘러 감전되어 죽게됩니다.
종종 앉아있던 새들이 날아가면서 두 전선에 동시에 닿아 감전되어 타죽기도 합니다.
새가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새가 전깃줄에 앉았을 때 전류에 대한 높은 저항력이 생기기 때문에 전류는 새가 아니라 계속 전깃줄을 따라갑니다.
둘째, 새가 전깃줄에 앉을 때 두 다리 사이의 전선 부분과 새의 몸통이 서로 병렬연결 되기 때문입니다. 이때문에 두 다리와 전선 부분에는 저항이 0에 가깝게 되고, 전위차도 0이 되게 됩니다.
즉, 새가 전깃줄에 앉아도 전기가 새의 다리로 흐르지 않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새들이 전류가 흐르는 전선 위에 앉아있더라도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저항과 전위차(전압 차이) 때문인데요, 저항이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는 작용을 말합니다. 전깃줄 위에 새가 앉으면 새의 몸통과 전깃줄이 병렬 연결되는데요, 병렬로 연결될 경우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더 많이 흐릅니다. 새의 경우 저항이 상대적으로 전깃줄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감전 위험이 없습니다. 또한 전류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특징이 있는데요, 전위차(전압 차이)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감전되지 않습니다. 새의 경우에는 몸집이 매우 작아서 전선과 접촉된 구간이 매우 적으며, 따라서 전위차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감전되지 않습니다.
새들이 전선 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의 몸이 전선 하나만 닿아있기 때문입니다. 전기가 흐르려면 전압 차이가 있는 두 지점 사이로 전류가 흘러야 하는데, 새가 한 전선에만 닿아있으면 전압 차이가 없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