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1980년대 경제 성장기에 대출 금리는 어느 정도였나요?

1980년대 한국의 경제 성장기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를 보면 적금 금리가 굉장히 높더군요. 보통 예적금 금리가 대출 금리보다 낮은 것이 일반적인데 1980년대 경제 성장기에 대출 금리는 어느 정도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1980년대 초반에는 20%의 대출 금리가 일반적이었지만, 1982년 이후 정부 정책에 따라 10%~12% 수준으로 인하되었습니다. 당시 예금금리도 또한 대략 10% 대 수준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기에 따라서 다르지만

    1980년대 초반에는 연 20%가 넘는 수준의

    대출금리도 있었으며

    더불어서 시간이 갈수록 금리가 떨어졌어도

    연 10% 이상의 대출금리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1980년대 한국의 대출 금리는 20%를 초과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1980년대 한국의 경제 성장기에는 인플레이션이 매우 높았고, 정부는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높게 유지했습니다.

    당시 예금 금리는 15 - 20% 정도였으며 대출 금리는 이보다 더 높았습니다.

    당시에는 기업들도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대출을 많이 이용했기 때문에 대출 금리가 높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1980년대 한국의 대출 금리는 대체로 10% 이상이었으며, 일부 시기에는 25% 이상까지도 올라간 적도 있습니다. 이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에 따른 결과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70년대 20프로대 기준금리에 12,15프로를 넘나들다가 80년대부터 초반 18.9프로찍고 바로 하강하게 되었습니다 10프로였기 때문에 금융권별로 10프로 초중반을 기록했죠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1980년 급격한 금리 상승기에는 일반 예금금리가

    20~30%로 매우 높았습니다.

    이러한 예금을 가지고 대출을 해주어 수익을 내야했기에 대출금리는 25~35%정도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1980년 대에는 한국 경제의 고도 성장기 였기 때문에 금리가 굉장히 높았던 시기 입니다.

    1980년 대 초반에는 20% 이상의 고금리가 적용되기도 했습니다. 기업 대출의 경우에는 10% 이상의 높은 금리가 적용되었습니다.

    1980년 대 중후반에는 점점 금리가 안정되었고, 정부에서는 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을 추친 하게 되었습니다.

    1980 년대에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개발이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금리로 굉장히 높았습니다. 하지만 점점 금리 인하 정책과 함께 점점 안정 되어 가던 시기 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1980년대 한국의 대출 금리는 상당히 높았으며 특히 1980년에는 대출 금리가 약 18%에 달했습니다. 이는 당시 높은 경제 성장률과 물가 상승률, 금융 시장의 규제 완화와 맞물린 결과였습니다. 1980년대 중반까지도 대출 금리는 10% 이상을 유지하며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러한 금리 환경은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 모두에 반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