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살 조카녀석이 대들면서 안 좋은 단어도 함께 씁니다.
어느날 부터인가 7살 조카녀석이 대들면서 안 좋은 단어도 함께 씁니다.
너 이런 단어 어디서 배웠냐고 몰아세우면 울어버리고 대화가 안되네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카가 태어나고 자라면서 귀엽고 예쁜모습에 마음을 빼앗긴 적도 있었는데 7살 정도 되니 대들고 이상한 말도 하니 기분이 좋지 않으실듯 합니다.
아직 어리니 침착하게 잘 타일러 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운다면 기다려준뒤에 잘못된 단어는 수정해주시는것이 좋을수잇으며
잘못된것은 그때그떄 말해서 고쳐주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카가 대들었다면 그 즉시 훈육을 하지 마시고 아이 부모에게 이 사실을 이야기 해주시고, 훈육은 부모님이 직접 하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가 했던 행동과 그 언어를 아이 부모님에게 알려주도록 하세요.
아이의 행동이 이러 이러하니 행동개선 지도를 했으면 좋겠다 라고 넌지시 말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절대 훈육은 본인이 하면 안됩니다. 훈육은 부모의 몫 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하실 때 어디서 배웠냐고 물어보시는 것보다
안좋은 단어를 사용하면 안되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7살이라면 아이의 눈높이에서 설명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같은 물이지만 예쁜 말만 해준 물과 나쁜 말만 해준 물은 서로 결정체가 다르다고 이야기해주세요
예쁜 말만 들려준 물은 결정체가 예뻐서 사람이 먹었을 때 건강한 물이 되지만
나쁜 말을 들은 물은 결정체가 깨져서 물 자체가 좋지 않은 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이렇듯 사람의 몸에도 수분이 포함되어있는데 우리가 나쁜 말을 많이 하면 그만큼 우리의 몸도 해치는 일이 되버리게 된단다 하며 안좋은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신다면 더욱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나쁜 언어를 사용했기에
혼내시고 이런 단어를 어디서 배웠는지 물어보시고
다시 쓰면 더 혼내겠다고 해보시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예쁜 말 보다는 거친 말 또는 나쁜 말을 빨리 배워 오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나쁜 말을 쓰게 되면, 야단을 치기 보다는 올바르게 표현할 수 있는 다른 단어를 알려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른에게 대드는 행동을 할 땐 바로 그 자리에서 강하게 훈육을 해야 합니다
한 두 번 하고 말겠지 하고 내버려두면, 아이는 습관처럼 그런 말투와 행동을 할 수 있으니 바로 잡아 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나쁜 말을 사용하면
이는 혼나야하고 이런 말은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반드시 알려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시기에는 아이들이 단어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래 아이들이 사용하거나 유투브 등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않좋은 언어에 대한 의미를 눈높이로 설명하시면서
사용하지 않게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