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술을 많이 마시고 숙취가 심하면 우리 몸에 어디에 부작용이 생기는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7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식사에 술자리가 많고 술이 과하면 개워내기도 하고 숙취가 심한 경우가 자주 있으면 우리 몸에 부작용이 있을것 같은데 어디가 나빠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술을 많이 마시고 숙취가 심한 경우, 우리 몸은 다양한 부위에 부작용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알코올이 가장 먼저 영향을 미치는 곳은 간입니다. 간은 알코올을 해독하는 주요 기관으로, 과도한 음주는 간에 부담을 주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방간, 간염, 간경화 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신장도 영향을 받습니다. 알코올은 이뇨작용을 촉진시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반복되면 신장 기능에도 부담이 가중됩니다. 위장관계도 술의 영향을 받아 위염이나 역류성 식도염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알코올이 위 벽을 자극하게 되면 속 쓰림이나 메스꺼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경계 역시 알코올로부터 영향을 받습니다. 술이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일시적으로 판단력과 균형감각을 저하시킵니다. 장기간의 반복적인 음주는 기억력 감퇴나 손 떨림 같은 만성적인 신경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심혈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알코올은 일시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 박동에 불규칙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고혈압이나 심장병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여러 신체적 부작용은 단기적으로는 쉽게 느낄 수 없지만, 긴 시간에 걸쳐 점차 축적되어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주 습관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그에 맞는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술을 마신 뒤에 발생하는 숙취 증상은 알코올이 체내에서 분해가 되면서 만들어지는 아아세트 알데 하이드라는 물질에 의해서 유발되게 됩니다. 숙취 증상들은 단순히 증상들일 뿐이며 숙취로 인해서 무언가 부작용이 생기거나 건강 상의 질병이 유발되거나 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알코올 자체의 섭취에 의해서 간이 손상되고, 혈당 조절이 불리해지며, 신체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등의 문제는 발생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과음 식 체내 유입 된 알코올을 분해하며 발생된 아세트알데히드가 잘 제거되지 않는 경우 숙취 증상이 심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주 시 적정량을 마시고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탈수가 되지 않도록 물을 많이 마시고 당분을 섭취하기 바랍니다.

    반복적인 과도한 음주는 위장관 질환과 간장애, 간질환의 원인 되므로 금주를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잦은 술자리와 과음은 간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술을 많이 마시면 간은 알코올을 해독하기 위해 과도하게 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간세포가 손상되어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심하면 간경변까지 진행될 수 있어요. 간은 통증을 잘 느끼지 않는 장기라 초기에 자각 증상이 거의 없지만, 나중에 피로감, 소화불량, 오른쪽 윗배의 묵직함 등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위장과 식도도 손상되기 쉬워요. 과음으로 자주 구토하거나 역류 증상이 나타난다면, 위염, 식도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위 점막이 지속적으로 자극받으면 출혈이나 궤양까지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복부 불편감이나 속쓰림, 구토 증상이 잦아질 있습니죠

    마지막으로, 뇌와 신경계에도 영향을 줍니다. 숙취가 심하면 두통, 집중력 저하, 기억력 저하 등이 반복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수면 장애, 기분 변화, 우울감 등을 유발할 수 있어요. 술자리가 많다면 음주 빈도와 양을 조절하고, 간 보호를 위한 영양 관리나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