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라울곤잘
라울곤잘23.07.09

27개월 된 아이가 아직 말을 잘 안하는데 괜찮을까요?

27개월된 둘째 아이가 아직 말을 잘 하지 않습니다.

이정도 되면 100개정도의 단어를 해야 한다고 하는데, 몇개 정도만 이야기를 합니다.

알아듣고 행동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말을 잘 하지 않을려고하네요.

말도 알아듣지 못하는 외계어를 하고요.

어떻게 해야 아이가 말을 하게 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언어자극을 많이 해 주세요. 동화책 읽어 주기, 동요 불러주기, 지속적으로 말 걸어주고 대답해 주기 등과 같이 언어적 자극을 해 주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마트를 가서 장을 보면서도 "이건 사과야. 사과는 색이 빨갛지? 모양도 둥글게 생겼네." 처럼 지속적으로 이야기하거나 " 뭐가 필요하니? 아.물을 달라는 뜻이구나." 처럼 자문자답의 형식으로 언어 자극을 해 주세요. 부모가 수다쟁이가 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어발달은 아이에 따라서 차이를 둘수있으나 27개월이 되었으면 어느정도 단어를 이어서 말할정도가 됩니다

    현재로써는 언어적인 발달이 매우 늦는것으로 볼수있기에

    언어치료를 받거나 검사를 해보심이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마다 언어 발달시기가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27개월정도는 언어 폭발기라고 하니 책도 많이 읽어 주시고 대답도 많이 해주시면서 30개월까지 기다려 보시면 좋을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이 느린 것 같아요

    한번 병원이나 그런 곳에 가서 언어지연인지

    한번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래요

    너무 걱정은 하지마세요


  •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어 발달은 아이들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잘 알아 듣고 행동 하며 인지능력또한 괜찮다면 조금 더 기다려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을 다 알아듣고 간단한 소통이 가능하다면 인지적인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가 말을 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환경이므로 아이 앞에서 수다쟁이가 되시고 아이 주변의 물건 이름, 아이의 행동등에 대해 해설자, 중계자처럼 설명해주세요. 또 운율이 있는 동시집을 읽어주시고 글밥이 적은 책을 자주 읽어주세요.

    30개월이 지나도 진전이 없다면 가까운 언어센터나 병원에 방문하셔서 제대로 진단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급하신 내용대로, 이 시기에는 어느 정도 말을 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두 단어 이상의 문장으로된 말도 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부모님이 아이에게 말을 자주 걸어 주셔야 합니다.

    같이 놀아주면서 상호작용을 해주셔야 말이 빨리 늘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언어가 느린 경우 아이와 자주 대화를 하면서

    언어를 들려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음성이 나오는 책이나 영상을

    자주 들려주시고 하루 3-4권의 글밥이 적은 책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독서를 해주면 언어가 늘수 있습니다. 아이들마다 언어구사능력시기에

    차이가 있으니 노력하시면 개선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09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잘하지 못한다면 아이의 행동을 문장으로 이야기해주고 천천히 또박또박 이야기해서 아이가 입 모양을 보고 따라말해 볼 수 있도록 격려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아이의 언어발달 검사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래야 아이의 현 언어 수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어 발달차이는 아이들마다 있지만, 보통 18개월 정도가 되면 언어가 폭발적으로 는답니다.

    27개월이면 조금은 늦은 감이 있지만,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혹시 모르니, 아이가 언어가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는지 언어 진단 검사를 받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언어자극을 조금 더 주고 싶다 라는 얘기 이시군요.

    아이에게 언어자극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으로는 단어카드를 제시하여 단어카드를 적힌 단어를 읽어주시고 아이가 따라 말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주세요. 그리고 책을 많이 읽어주시고, 또한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시고 질문을 해주시면서 아이가 답변을 할 수 있는 시간도 충분히 주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하지만 언어소통이 되지 않고, 언어가 또래 보다 느리다고 생각 되어진다면 언어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