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종합소득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매달 급여에서 주민세 떼가는데 지방세로 주민세는 먼가요?

안녕하세요. 근로소득자라 매달 급여에서 주민세 떼어가는데요. 1년에 한번 이맘때쯤 지방세고지서가 나와서 보면 주민세를 또떼갑니다. 왜 중복으로 떼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윤경 세무사
    송윤경 세무사
    송윤경세무회계사무소

    안녕하세요. 송윤경 세무사입니다.

    중복으로 떼가지 않습니다.

    급여를 받을때의 주민세라고 적혀 있는 것은 지방소득세 특별징수이며,

    8월의 주민세는 진짜 주민세입니다.

    제74조(정의) 주민세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4. 1. 1., 2018. 12. 31., 2020. 12. 29.>

    1. “개인분”이란 지방자치단체에 주소를 둔 개인에 대하여 부과하는 주민세를 말한다.

    2. “사업소분”이란 지방자치단체에 소재한 사업소 및 그 연면적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부과하는 주민세를 말한다.

    3. “종업원분”이란 지방자치단체에 소재한 사업소 종업원의 급여총액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부과하는 주민세를 말한다.

    4. “사업소”란 인적 및 물적 설비를 갖추고 계속하여 사업 또는 사무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말한다.

    5. “사업주”란 지방자치단체에 사업소를 둔 자를 말한다.

    6. “사업소 연면적”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소용 건축물의 연면적을 말한다.

    7. “종업원의 급여총액”이란 사업소의 종업원에게 지급하는 봉급, 임금, 상여금 및 이에 준하는 성질을 가지는 급여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8. “종업원”이란 사업소에 근무하거나 사업소로부터 급여를 지급받는 임직원, 그 밖의 종사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을 말한다.

    제75조(납세의무자) ① 개인분의 납세의무자는 과세기준일 현재 지방자치단체에 주소(외국인의 경우에는 「출입국관리법」에 따른 체류지를 말한다. 이하 이 장에서 같다)를 둔 개인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제외한다. <개정 2020. 12. 29.>

    1.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2. 「민법」에 따른 미성년자(그 미성년자가 성년자와 「주민등록법」상 같은 세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3. 「주민등록법」에 따른 세대원 및 이에 준하는 개인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4. 「출입국관리법」 제31조에 따른 외국인등록을 한 날부터 1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외국인

    ② 사업소분의 납세의무자는 과세기준일 현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주(과세기준일 현재 1년 이상 계속하여 휴업하고 있는 자는 제외한다)로 한다. 다만, 사업소용 건축물의 소유자와 사업주가 다른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건축물의 소유자에게 제2차 납세의무를 지울 수 있다. <개정 2018. 12. 31., 2020. 12. 29.>

    1. 지방자치단체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사업소를 둔 개인

    2. 지방자치단체에 사업소를 둔 법인(법인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법인격 없는 사단ㆍ재단 및 단체를 포함한다. 이하 이 장에서 같다)

    ③ 종업원분의 납세의무자는 종업원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사업주로 한다. <신설 2014. 1. 1.>

  • 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

    그 둘은 성격이 다릅니다. 하나는 소득이 있기에 매달 떼가는것이고, 이번에 내시는 것은 세대주로 있기에 내는 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우석 세무사입니다.

    타소득이 있어서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셨는지요?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고 별도로 지방세(국세의 10%)도 납부를 하였어야하는데,

    납부를 하지 않았거나 과소하게 납부한 경우 8월에 고지서가 발부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중복은 아닙니다.

    급여에서 원천징수되는 세금은 주민세가 아닌 '지방소득세'입니다. 근로소득세의 10%가 부과되며 이는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과세가 됩니다. 이와 별개로 우리나라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세대주에게 부과되는 세금이 주민세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