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는 특징과 이 가축화신드롬이 무엇일까요

야생동물이 가축화되어가는 특징이 있을텐데요 이 야생동물이 가축화되어가는 특징이 무엇인지 궁금하며 가축화신드롬이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는 특징은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점 온순해지고, 특정 생리적 및 행동적 변화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가축화된 동물들은 일반적으로 더 작고, 두개골과 치아가 작아지며, 귀가 늘어지거나 털의 색상이 다양해지는 등의 신체적 변화가 일어납니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과의 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선택의 결과입니다. 가축화신드롬은 이러한 일련의 변화들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야생동물이 가축화될 때 나타나는 일관된 신체 및 행동적 특징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호르몬 변화나 신경계 조절의 결과로 인해 발생합니다.

  •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면서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가 있는데, 이러한 변화를 총칭하여 '가축화 신드롬'이라고 합니다.

    다만, 가축화 신드롬은 단순히 외형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행동, 생리적인 변화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입니다.

    야생동물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귀가 짧아지고 부드럽게 눕는 경향이 있으며 주둥이가 짧아지고 뭉툭해지고 털 색깔에 다양한 변이가 나타나고, 털이 부드러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의외로 뇌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행동에서도 변화가 나타나는데, 야생성이 줄어들고 사람에게 순종적인 성격으로 변하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하고, 불안감이 줄어듭니다. 또한 무리 생활에 적응하고, 다른 개체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해집니다.

    특히 번식 주기가 짧아지고, 새끼를 더 많이 낳는 경향이 있고 성장 속도가 빨라지고, 성적으로 성숙하는 시기가 빨라지는 경향도 보입니다.

    특히 인간이 제공하는 먹이에 적응하기 위해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합니다.

    이렇게 가축화 신드롬이 나타나는 이유는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온순하고 순종적인 개체들이 살아남고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가축화 과정에서 특정 유전자가 선택되고 고정되면서 형태와 행동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는 특징으로는 온순함, 사회적 행동증가 ,생리적 변화 등이 있어요

    가축화 신드롬은 이러한 변화가 야생동물에게 가축으로 변할때 나타나는 일련의 유전적 및 행동적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람과 자주 만나고 사람에 자주 노출되면 행동뿐 아니라 외모도 달라지는게 '가축화 신드롬'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