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세금·세무

종합소득세

유능한누에55
유능한누에55

급여 290만원 300만원 세금차이?

얼마나차이나나요?

급여를받는데 실수령액이 300만이상

300원이하이면 실수령액이 비슷하나요..

예 를들어 연봉4천 실수령액

연봉 3600 실수령액 이 얼마나차이나나요 2021년기준으로

아시는분 계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영우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실수령 계산을 도와주는 사이트가 몇 있으니 참고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사람인 연봉 계산기(https://www.saramin.co.kr/zf_user/tools/salary-calculator)

    근로소득자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원천징수세액이 정해지는데, 소득이 많을수록, 부양가족이 적을수록 원천징수세액이 증가합니다. 원천징수세액은 월별 공제되는 근로세액을 의미하며 실제 세부담은 연말정산이나 5월 종합소득세 신고시 결정되어 차액을 정산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ㅇ 월급 300만원일 경우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93,330원, 4대보험 273,750원 / 세후급여 2,632,920원

    ㅇ 월급 290만원일 경우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83,440원, 4대보험 264,620원 / 세후급여 2,551,940원

    두 급여간 매월 실수령 차이는 80,980원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민기 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세금의 경우 누진소득세여서 금액이 조금 달라져서 소득구간이 달라진다고

    급격하게 총 세금이 증가하진 않습니다.

    누진소득세란 과세표준이 증가함에 따라 세율이 높아지는 형태의 누진구조를 갖는 소득세를 말한다. 경제이론적으로 ① 소득이 많은 사람에게는 높은 세부담,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는 낮은 세부담이 되므로 소득의 재분배기능에 가장 적합하고, ② 한계효용체감(限界效用遞減)의 법칙에 기초하여 조세부담의 공평을 도모할 수 있다는 좋은 점이 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다른 기타 요건들이 모두 동일하고 단지 급여만 다르다는 가정하에 세금은 그 세율구간에 따라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과세표준기준으로 1200만원까지 6%, 4600만원까지 15%입니다.

    질문자님의 연봉이 4000만원이더라도 각종 소득공제를 한 금액이 1200만원 이하라면 6%의 세금이 부과될것이고 4600만원 이하 구간이라면 15%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과세표준이 4600만이하 구간에서 400만원 차이난다면 60만원정도 세금차이가 나시겠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급여의 실수령액은 4대보험과 원천징수세액에 의하여 달라지는 것이므로 해당 급여에 대해 간이로 4대보험료와 원천징수세율을 계산해보시기바랍니다.

    1. 4대보험 간편계산

    http://m.4insure.or.kr/mobile/calc/calc.do

    2. 간이세액표에 따른 원천징수세율

    https://teht.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sf/a/a/UTESFAAF99.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