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적혈구는 핵이 없는 세포라고 하는데 왜 핵이 없나요

적혈구는 특이하게 핵이 없는 세포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왜 핵이 없는것이며 핵이 없는 이유와 이로 인하여 어떤 기능과 장점을 갖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적혈구(erythrocytes)가 핵을 상실하는 현상은 이 세포들이 산소(O₂)와 이산화탄소(CO₂)를 운반하는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진화적 적응으로 간주됩니다. 성숙한 적혈구는 세포 내부를 헤모글로빈(hemoglobin)으로 가득 채우기 위해 핵과 다른 세포기관을 제거합니다. 이는 산소의 결합 및 운반 능력을 극대화하며, 이 과정을 통해 적혈구는 보다 효율적으로 호흡 기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핵을 제거한 적혈구는 유연한 이중 오목 형태(biconcave shape)를 갖게 되며, 이 형태는 적혈구가 혈관의 가장 좁은 부분을 통과하는데 유리하고,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면적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핵과 다른 세포 내 기관이 없음으로써 적혈구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며, 이는 세포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고 세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합니다.

  • 안녕하세요.

    혈액을 구성하는 혈구 중에서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에서 파괴되는데, 미성숙할 때에는 존재했던 세포핵이 발달이 끝나면 소실되기 때문에, 다른 혈구세포와는 다르게 세포핵이 없고 소기관이 거의 없는 세포입니다. 른 대부분의 세포는 핵을 가지고 있지만, 적혈구는 핵을 없앰으로써 특별한 기능과 장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적혈구는 양쪽이 오목한 원반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헤모글로빈을 포함하고 있는데요, 적혈구가 핵을 잃게 된 이유는 산소 운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적혈구는 신체의 모든 조직에 산소를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기능을 최적화하려는 과정에서 핵이 사라졌습니다. 적혈구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폐에서 산소를 받아서 이를 온몸의 조직에 공급하는 것입니다. 적혈구 내부에는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hemoglobin)이라는 단백질이 가득 차 있어야 하는데, 핵이 제거됨으로써 세포 안에 더 많은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핵이 없으면 그 자리에 더 많은 헤모글로빈을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적혈구는 산소를 더 많이 운반할 수 있게 됩니다. 적혈구는 혈관을 따라 움직이면서 매우 좁고 작은 모세혈관을 통과해야 합니다. 핵이 없는 적혈구는 이중 오목형(biconcave shape)을 가지며, 이 독특한 모양 덕분에 세포가 쉽게 변형되어 좁은 혈관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적혈구에 핵이 남아 있었다면, 세포가 유연성을 잃고 혈관을 통과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입니다. 즉, 핵이 없는 적혈구는 내부의 대부분을 헤모글로빈으로 채울 수 있어서, 산소 운반에 최적화됩니다. 적혈구 한 개는 약 2억 5천만 개의 헤모글로빈 분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한 개의 적혈구가 많은 양의 산소를 운반할 수 있습니다.

  • 적혈구의 기능을 강화한 결과입니다.

    핵은 세포의 중심으로, DNA를 보호하고 단백질 합성을 담당합니다. 하지만 적혈구의 주된 기능은 헤모글로빈을 통해 산소를 운반하는 것이므로, 핵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더 많은 헤모글로빈을 담을 수 있도록 진화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핵이 없어짐으로써 적혈구는 더욱 유연해져 좁은 모세혈관을 자유롭게 통과하며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핵을 유지하는 데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데, 핵이 없는 적혈구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산소 운반에 집중할 수 있게 된 것이죠.

    핵이 없는 것으로 인한 기능적 장점은 앞서 말씀드린대로 산소 운반에 효율이 높아지고 좁은 혈관도 통과하기 쉬워집니다. 또 에너지 소비가 적어 비교적 긴 수명을 유지하며 꾸준히 산소 운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적혈구가 핵을 갖지 않는 것은 산소 운반이라는 기능에 최적화된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적혈구는 산소운반에 대해 특화된세포로 진화하면서 핵을 잃어버리게 되었다고합니다.

    핵은 세포 내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세포내소기관 중하나인데
    이 소기관을 바깥으로 버리고 더 많은 헤모글로빈을 함유시킴으로써
    산소운반에대한 효율성을 극대화시킨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핵이없으면 세포의 유연성이 증가하는데,
    모세혈관사이를 쉽게 통과하거나 조직사이사이 산소를 잘 운반하는데 도움을 주기도합니다.

    감사하빈다.

  • 적혈구는 산소 운반에 최적화되기 위해 핵이 없습니다. 핵이 없으면 세포 내부에 더 많은 공간이 확보되어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을 더 많이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핵이 없으면 적혈구의 형태가 유연해져 혈관을 통과할 때 더 쉽게 변형되어 작은 모세혈관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성 덕분에 적혈구는 효율적으로 산소를 운반하고 체내에서 원활히 순환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적혈구도 초기 발생과정에서는 핵이 있답니다. 그렇지만 우리몸에서 적혈구로 기능하기 직전에 핵이 사라지게 되지요.

    일반적으로 RBC (적혈구)는 오목한 형태를 띄는데 산소를 더 잘 포획하고, 잘 전달할수 있는 구조이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래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적혈구가 핵이 없는 이유는 좁은 모세혈관을 더 잘 통과할 수 있고 세포가 유연해지는 진화 과정에서 핵이 사라진 걸로 추측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