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일제가 시행한 산미증식계획의 결과는 어떻게 되나요?
일제는 자국의 부족한 쌀을 해결하기 위해 산미증식계획을 시행합니다. 그런데 산미증식계획의 결과는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일제는 부족한 쌀을 조선에서 증식하여 유출하고자 한 산미증식계획(1920-1934)을 시행하였습니다.
산미증식계획으로 조선에서 어느 정도 쌀은 증시되었으나 목표한 만큼 증식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일제는 애초 계획에 따라 쌀을 반출해 갔으며, 조선인의 쌀 사정은 악화되었습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일제는 만주산 잡곡을 수입하여 유통하였습니다.
그리고 쌀 증식 비용을 소작농이 부담하면서 농민들은 더욱 어렵게 되었으며, 지주제는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농토의 대부분이 쌀 중심의 단작 농업화 되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산미증식계획의 결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었던 쌀들이 일본으로 많이 수탈되었고, 이로 인해 아무래도 더 많은 쌀이 일본으로 가다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량 측면의 문제가 불거졌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