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한참창조적인과일박쥐
한참창조적인과일박쥐

척추측만증은 왜생기는걸까요? 비슷한 환경속에서도 측만이 생기는사람 안생기는사람 나뉘는 이유가 있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3

공부하는 학생인 경우에, 대부분의 시간을 비슷하게 앉아있게 될텐데 왜 어느 학생은 측만이 생기고 어느 학생은 별이상이 없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 측만증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가장 큰 부분은 유전적 요인입니다. 가족 중에 비슷한 문제를 겪었다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또는 평소 생활 습관과 자세입니다. 그리고 평소 운동 및 관리를 해주는 것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관리해주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만약 척추 측만증이 있다면, 어릴수록 치료 효과가 좋으니 가능한 빨리 치료 받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측만증은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수있으나 학생때 앉는자세로 말씀을 해주셨는데

    1. 특발성 측만증은 성장기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발생하는데 유전적인 영향을 어느정도 받으며 이유가없이 갑자기 휘게됩니다. 이런경우가 가장 흔한 측만증입니다. 키가 급성장할때 갑자기 생기거나 작았던 측만증각도가 갑자기 확 커질수있습니다. 각도가 심하냐에 따라 보조기착용이 권고될수도있고 키가 커질때는 바로잡기보다 각도가 더 커지지않게 유지하는것이 중요합니다.

    2.나쁜자세나 습관으로 인해 척추가 휘어질수있습니다. 이런경우는 근육의 불균형 때문에 생긴 측만증으로 근육의 균형을 맞추면서 개선될수있습니다.

    고로 학생별로 생기는것에 특이한 이유가없기때문에 유전적인 요인을 잘 고려해주시면 될것같습니다. 여학생에게 나타나는 빈도가 남자보다 훨씬 높습니다. 추가적은 질문사항있으시면 댓글 주시면 빠른시일내에 답변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측만증은 뚜렷한 원인은 없이 특발성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바르지 않은 자세로 측만증이 더 악화가 되기도 하지만, 유전적인 요인도 일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허리통증이나 증상이 있다면 xray 토대로 검사 및 진단이 가능하나, 경우에 따라 측만증이 있어도 증상이 없는 경우 또한 많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최대한 앉는 자세를 바르게 하고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을때에는 병원 진료를 고려해봄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앉아 있는 자세 습관으로 인하여 한쪽 옆으로 틀어져 않아 계시거나 양반다리, 무릎 꼬고 자주 앉아 있는 경우 골반이 틀어지며 측만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측만증의경우 선천적으로 가지고태어나는경우도있고 후천적인원인에 의해서 생기는경우도잇는데요 바르지않은자세나 근육의불균형 또는 골반의문제등에의해서 생길수있으니

    만약 불편감이생긴다면 병원에서 검사와 치료를받는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측만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고 유전적인 요인 성장 발달 과정, 자세불량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비슷한 환경 속에서도 개인의 유전적 요인이나 근육 발달 차이, 생활 습관에 따라 측만증의 발생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앉는 자세나 운동량, 체중 분포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환경에서도 각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습관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측만증은 보통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이 존재하는데요, 선천적인 경우에는 개선이 어려울 수 있고 후천적인 원인은 자세를 교정하는 경우 어느정도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척추측만증은 증상 자체가 질병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드물고 허리통증이나 목통증과의 연관성도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생활습관이나 업무환경에서 노출되는 자세에 의해서 발생될 확률이 높습니다. 선천적인 경우에는 유년기나 청소년기에 진단을 받는것이 정확하고 후천적인 경우에는 꾸준한 운동이나 자세습관을 수정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