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를 보게되는과정..햇빛과 물체와의
햇빛과 물체와의 상호작용과정에 뇌처리과정엣서 조금씩 색이다르게보인다고 ..합니다
맞나용??하늘노을저녁에 붉게보이는이유도 자연과 주파수의상호작용??파장때문이라네요
안녕하세요.
빛은 파동의 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자연광인 햇빛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가 보는 색상의 스펙트럼을 형성합니다. 물체의 표면에 빛이 닿을 때, 물체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은 반사합니다. 우리의 눈은 이 반사된 빛을 감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물체의 색을 인지하게 됩니다.
눈의 망막에 있는 광수용체인 간상세포(콘 세포)와 막대세포(로드 세포)는 감지한 빛의 정보를 신경 신호로 변환하여 뇌로 전달합니다. 간상세포는 주로 밝은 빛에서 색을 구분하는 데 관여하며,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하여 각각 빨강, 초록, 파랑의 빛을 감지합니다. 뇌는 이들 정보를 종합하여 우리가 인식하는 색상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빛의 조건, 주변 환경, 관찰자의 시각적 경험 등에 따라 동일한 물체도 다른 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녁 노을이 붉게 보이는 현상은 대기 중의 작은 입자들이 햇빛의 파란색과 녹색 파장을 흩어지게 하고, 더 긴 파장인 빨간색과 주황색 빛을 우리의 눈으로 직접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이라는 현상으로, 대기가 햇빛을 필터링하면서 색상이 변화하는 과정입니다.
광학과 시각 인지에 관한 조금 더 심도있는 내용을 살펴보고 싶으시다면, Vision Science: Photons to Phenomenology와 같은 책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