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와 우리나라는 왜 서로 형제의 나라라고 하나요?
요즘 월드컵이 한창이라 20년전 우리나라가 4강에 올라갔던 일이 생각납니다. 그때 3,4위전에서 터키에게 아쉬운 패배를 한 후 터키 선수들과 한데 어우러져 같이 기쁨을 만끽하던 장면이 떠오르는데요. 왜 터키와 우리나라는 특별히 우호적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터키가 한국전에 참전해주어 피를나눈 형제라고 합니다.
터키는 자국의 이익때문에 한국전에 참전했다고 하나 네번째로 달려왔고 많은 병사를 보내와 사상자도 많았습니다.
고마운 나라 입니다.
이제 국명도 튀르키예로 바꾸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튀르키예는 돌궐족입니다. 과거 고구려와 돌궐족은 관계가 매우 좋아
혼인관계를 맺을 정도였습니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에 튀르키예는 미국 다음가는 규모의 지원을 하였습니다.
이런 배경 때문에 형제의 나라라고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에 고구려와 동맹을 맺어 가깝게 지냈던 돌궐은 동돌궐과 서돌궐이 있었는데 돌궐이 위구르에 멸망한 후 남아있던 서돌궐이 이동해 투르크, 즉 지금의 튀르키에가 됐지요. 연개소문은 돌궐의 공주와 결혼을 하기도 했고 그래서 우리나라와 튀르키에가 ‘형제의 나라’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물론 최근에는 한국 전쟁때 우리나라에 군대를 파병해줘서 우리를 위해 싸워주기도 한것이 더욱더 튀르키에와 우리를 가깝게.만든 이유가도 하구요. 터어키는 현재 튀르키에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적으로 올라가면 돌궐족이 쫓겨 넘어가 정착한 곳이 터키라 그런것이 있지만,
사실 그건 너무 먼 옛날 얘기이고,
6.25때 유엔군으로 참전해준 터키이기에
피로 맺은 형제의 나라라는 말이 생겼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튀르키예는 6.25 전쟁이 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원군을 보내주겠다고 한 나라이며 실제로 영화 '아일라'를 통해서도 이를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튀르키예를 형제의 나라라고 하는 것이며, 결국 어느 한 쪽이 어려울 때 도와주면 그 자체로 우호국이 된다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터키는 우리나라 6.25전쟁(한국전쟁) 당시 미국 영국 캐나다에 4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병한 국가로 1950년10월 7일에 14,936명을 파병했고 사망 741명 부상 2,068명 실종 163명 244명이 포로가 된 우리의 우방국가입니다. 이런 연유로 형제의 나라라고도 불리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