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미국 근원 생산자물가지수가 상승하지 않은 결정적인 이유가 뭔가요?

오늘 9시 30분에 발표한 미국 생산자물가지수가 예상치보다 낮게 나왔더군요.

거기다 근원생산자물가지수는 0.0%로 상승을 하지 않았는데 낮은 물가가 호재라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주가는 하락하더군요. 근데 미국 근원 생산자물가지수가 상승하지 않은 결정적인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근원 생산자물가지수가 상승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런 것은 일반적으로 생산에 필요한 물자들의 공급망이 안정화 되어서 가격도 안정적이거나

    수요가 둔화되고 있거나 혹은 연준의 기준 금리 정책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라고 하는 것은 에너지나 식품을 제외한 수치를 말하며, 이는 기업들이 물건을 받는 원가로 이는 도매상들에게 판매하는 가격이라고 볼 수 도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근원 ppi 지수가 하락하거나 감소하면 이는 소비가 둔화되고 있다는 하나의 신호로 보여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가전제품이나, 의류, 자동차 분야 등에서의 수요가 보다 더 줄어드는 것이라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서비스, 에너지 등 핵심 원가 압력이 둔화된 영향입니다. 수요둔화 + 공급 안정으로 물가 상승세가 제어 되었습니다. 연준 긴축 우려가 낮아지면서 오히려 증시는 긍정 해석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즉, 숫자는 낮게 나왔지만 경기 침체 우려보다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근원 생산자물가지수가 상승하지 않은 결정적인 이유는 에너지, 식료품 등 변동성이 큰 항목을 제외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였기 때문이에요.

    특히 공급망 차질이 완화되고,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면서 제조업과 서비스 업종에서 가격 상승 압력이 줄어든 게 큰 영향을 줬어요.

    다만, 물가가 낮게 나와도 금리 인상 가능성이나 경기 둔화 우려가 함께 부각되면 주가가 하락할 수 있어서 시장 반응은 꼭 긍정적이지 않을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화 즉 상품부문의 물가상승은 0.3%로 크게 오히려 크게 낮아진게 원인이 되었으며 아마 이는 소비재에 대한 가격이 4월에 어느정도 미리 올라가면서 상대적으로 6월부터는 기업의 매입 물가라고 할 수 있는 상품부문의 가격이 완화되고 있는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서비스 물가 -0.1%로 하락한게 가장큰 원인이며 이는 여행과 숙박쪽의 수요가 크게 감소하고 임금상승세도 완만해지면서 물류비도 하락한게 주요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본격 시행에 들어간 상황에서, 당장의 물가 압력은 뚜렷하지 않다는 신호로 볼 수 있는데요. 관세 정책이 아직까지 물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