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임리히법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영유아 하임리히법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하임리히법도 성인 하임리히법이 있고 또한 영유아 하임리히법이
있더라구요 영유아 하임 리히법과 성인 하인 리히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영유아(1세 미만)는 내장손상 위험이 있어 복부 압박을 사용하지 않고, 등 두드리기와 가슴 압박을 번갈아 시행합니다
성인/1세 이상은 배꼽과 명치 사이를 주먹으로 강하게 위로 밀어 올리는 복부 압박을 하게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하임리히법은 기도가 막혔을 때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응급처치로, 영유아와 성인에게 적용하는 방법에 몇 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영유아의 경우, 체구가 작아 성인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우선, 아이를 팔에 엎드린 자세로 눕히고 손바닥으로 등 중앙을 5회 두드려줍니다. 이때 머리가 몸보다 아래로 향하도록 합니다. 그래도 이물질이 나오지 않으면, 아이를 뒤집어 가슴을 위로 향하도록 하고, 두 손가락을 이용해 가슴 중앙을 부드럽게 5회 눌러줍니다. 이런 방법은 어린아이의 연약한 신체를 고려한 조치입니다.
성인의 경우 하임리히법은 주로 복부를 압박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성인의 뒤에 서서 양팔을 둘러싼 후 한 손은 주먹을 쥐고, 다른 손으로 주먹을 감싸듯 하여 배꼽 위에 위치시킵니다. 그 후 위로 밀어내듯 강하게 눌러 압박하여 이물질을 밀어냅니다.
영유아와 성인의 차이는 체구와 신체의 발달 정도에 따라 적절한 압박의 강도와 부위를 조정해야 한다는 데 있습니다. 이렇게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을 숙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52세 남성분께서 영유아 하임리히법에 대해 질문 주셨네요. 성인과 영유아 하임리히법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압박 위치와 강도입니다. 영유아의 경우, 복부가 아닌 가슴 부위를 부드럽게 압박하며, 등 부위를 번갈아 가며 두드려 이물질 배출을 유도합니다. 이는 영유아의 장기가 성인보다 훨씬 약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인처럼 복부를 강하게 압박하면 오히려 장기 손상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영유아에게 맞는 방법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혹시 주변에 영유아가 있다면, 응급 상황에 대비하여 영유아 하임리히법을 미리 숙지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심폐소생술 교육기관에서 관련 교육을 이수하면 더욱 정확한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하임리히법은 기도에 사탕이나 떡과 같은 이물질이 걸렸을 때 시행하는 응급 처치법으로 영유아와 성인은 신체 구조가 다르므로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성인 하임리히법은 환자 뒤에서 양팔로 감싼 후 위로 밀어올리는 것처럼 복부 압박을 시행합니다.
영유아 하임리히법을 시행할 때는 복부 압박은 하지 마시고, 목을 과도하게 젖히거나 흔드는 것은 주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