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진리의 샘
진리의 샘23.04.11

인플레이션 진정되면 초저금리 시대로 돌아갈까요?

IMF에서 인플레이션이 진정이 되면 다시 이전 처럼 초저금리 시대로 돌아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는데요. 왜 그렇게 전망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고금리 상황이면 경기를 위축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경기부양을 위해서라도 향후 초저금리에 대한 말이 나오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라는 것은 '싸이클'이라는 것이 존재하며, 이 싸이클을 이끄는 가장 주된 원인은 바로 '금리'입니다. 즉, 금리의 변화에 따라서 향후 경기가 활성화되거나 혹은 경기가 침체되는 현상을 오고가게 되는 것입니다. 금리의 변동에 따른 경제의 싸이클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준금리 인하 [경기침체기]

    • 기준금리 인하로 인해서 시중유통 화폐의 양 증가(개인대출증가 + 기업시설투자 증가)

    • 개인들의 자금 증가로 인해서 소비증가 [경기회복기]

    • 소비증가로 인해서 기업들의 판매 실적 증가와 신규채용 상승 [경기성장 중기]

    • 개인들의 임금인상률 큰 폭 상승과 이로 인한 수요 확대로 인플레이션 상승

    •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인한 기준금리 인상 시작

    •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개인들의 대출금리 상승

    •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이자비용부담 증가와 소비지출 감소 [경기성장 후기]

    • 소비지출 감소로 인해서 기업들의 판매실적 악화 및 재고증가

    • 기업들의 재고 저가로 판매 시작하여 영업이익 악화

    • 기업실적 악화로 인해서 신규채용 감소 및 실업률 증가 [경기침체기]

    지금의 상황을 보게 된다면 고금리 기조로 인해서 경기가 침체되고 있는 시기입니다. 그렇기에 각 정부들은 이 경기침체를 벗어나기 위해서 당연히 금리인하를 할 수 밖에 없게 되는데 금리인하로 인한 경제의 활성화 정도는 차이가 있을수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금리가 인하되는 것은 맞으나 과거과 같은 '초저금리' 까지 갈지에 대한 말은 하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다만 과거의 자료를 토대로 본다면 향후 금리인하가 이루어지고 초저금리 시기로 다시 돌아갈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은 맞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국가 부채가 너무 많기 때문에 고금리를 오래 유지못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도 고금리를 감당하지 못합니다.


  • MF(Mutual Fund)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전망은 금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진행될 경우,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는데, 이는 고정수익형 투자상품의 수익률을 높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때문에 MF에서는 인플레이션 시대에는 초저금리 시대보다는 고정수익형 투자상품이 더욱 유리하다는 전망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으로 인한 가치하락을 의미하는데, 이 경우에는 수익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높게 유지될 때 투자자의 자산가치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MF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되는 시기에는 채권이나 현금성 자산 등의 고정수익형 투자상품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은 경기부양책과 연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MF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진행될 경우,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경제 성장이 예상될 수 있으며, 이는 주식 등의 위험자산의 수익률 상승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진행될 경우에도 이전처럼 지속적인 초저금리 시대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며, 인플레이션의 정도와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 변동폭도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