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기특한나팔새216
기특한나팔새21622.08.19

크라운 치료한지 얼마 안되었는데 교체하는게 나을까요?

최근에 어릴 때 했던 오래된 크라운을 제거하고 새로운 크라운으로 교체했었는데요.

아직 한 달이 지나지 않았는데 높이 때문에 턱이 자꾸 불편합니다..

오래된 크라운을 제거하고 내부 충치를 제거하고 난 뒤에 치아 삭제량이 많고 한 쪽 면을 많이 갈아냈었는데요.

왼쪽 아래 큰 어금니인 36번 치아이며 옛날에 치수절단술을 받았던 치아입니다.

이렇게 충치를 치료하고 나서 최종 보철물이 제작된 후에 크라운을 부착했는데 처음 높이 체크할 때 높이가 낮더라구요.

옆에 35번 치아도 같이 교체 진행중이었는데 같은 날에 보철물이 나왔지만 35번은 높이가 정상적으로 잘 맞았습니다.

근데 36번은 높이가 낮아서 이를 다물었을 때 물리는 느낌이 없길래 이상하다 싶었는데 원장님이 설명해주길

치아가 약해진 상태라 일부러 높이를 낮춰서 제작했다. 라고 말을 해주더라구요.

사실 이 경우에는 미리 말을 해줬더라면 제작하기 전에 제 의견을 말해서 확실하게 결정을 했을텐데 아무런 말도 없이 나중에 다 제작되고 나서 이렇게 말해주니까 좀 더 어려운 부분이 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최종 보철물을 부착하기 전까지 이렇게 진행된다는 말을 들은 게 없어서 처음에 좀 당황했지만 그래도 이렇게 만든 이유가 있으니 적응해보자는 마음가짐으로 몇 주간 써봤는데요.

사실 이마저도 큰 어금니인데도 불구하고 음식물을 해당 치아로 씹으면서 식사하고나면 몇 일 안가서 금방 빠져버리느라

세 번정도 다시 부착했지만 빠질 때 마다 계속 치과에 내원하는 것이 번거롭다보니 일부러 이 치아로 식사를 피할 때도 많았어서 완전히 마음 편하게 사용은 해보지 못했습니다.

임시부착이긴 했지만 옆의 35번 치아는 식사하면서 빠진 적이 없는데 36번 치아만 계속 빠지더라구요.

그래도 나름대로 살살 씹어가며 사용을 해봤는데 결국 완전 부착하기 전 최대 고민거리가 이대로 붙일지

또는 높이를 원래 교합에 맞는 높이로 정상적으로 맞춰서 사용할지 였는데 저는 교합 안맞아서 불편한게 싫어서

웬만하면 교합을 맞추고 쓰고 싶었지만 치아가 약해진 상태라 정상 교합 높이로 사용하면 치아가 부러질 수 있다는 말에

겁을 좀 먹었는지 고민만 하고 쉽게 결정을 못하고 있던 상태에서 사람의 생각이란게 하면 할수록 깊고 복잡해질 때가 있다보니 그 때 그 상황이 그런 상황이라 생각해 일단 내원해서 원장님 의견을 듣고 결국에는 조금 낮게 제작된 현재 상태로 완전히 부착을 했는데요.

몇 주 정도 사용을 해봤는데 턱이 많이 불편합니다.

몇 년 전에 보철 치료를 한 뒤에 턱관절이 생겼었는데 최근에 보철 치료 한 이후에는 치아가 닿지 않아서 그런지

턱이 더 틀어지는 느낌이네요.

거울로 보아도 입을 봤을 때 턱이 틀어진게 너무 잘 보입니다.

이번에 치료했던 치아 높이 다시 맞춘다고 턱관절이 완전히 치료 될 것 같지는 않지만 지금보다는 나아질 것 같은데

교체하는게 나을까요?

턱관절은 몇 년 전 24번, 25번 치아 크라운 26번 치아 인레이 했을 때 생겼는데.. 저는 인레이 쪽 높이가 안맞는 듯 해서

가끔씩 다른 치과에 방문해서 교합 검사를 받았지만 별 문제 없다고 하다가 약 1년정도 전에 다른 치과 방문해서 검사 받았더니 24번, 25번 크라운 높이가 좀 높다고 치료받았던 해당 치과 내원해서 진료 받으라고 했지만 그 때 다녔던 치과가 거리가 멀다보니

높다고 진단해준 치과에서 높이를 조절했었는데 모양이 조금 이상해지고 결정적으로 턱관절이 나아지진 않았습니다.

결국 턱관절이 생겼던 시기에 치료했던 보철들을 새로 교체하면 나아질지.. 이것도 확신이 없네요.

크라운이 늘어갈 때 마다 교합이 참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보철에 의한 턱관절의 늪에서 벗어나고 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일단 몇가지 오해를 하고 계신 것이 있습니다. 치료하신 36번 치아의 경우에는 주 저작에 사용되기 때문에 임시 치아로 부착했을 때 떨어지는 것은 흔합니다. 즉 이는 치아가 잘 맞지 않거나 문제가 있어서 그런것이 아닙니다.

    또한 크라운의 높이를 낮게 하더라도 치아들은 고정된 조직이 아닙니다. 주변치아와 교합을 맞추기 위해서 조금씩 움직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모두 정상교합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따라서 비정상적으로 교합이 낮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범위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리고 크라운 높이가 약간 높다고 해서 턱이 틀어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크라운 교합이 높으면 턱관절에 일시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하나 지금 정도로는 턱이 틀어지지 않으며 아마 턱이 틀어진 원인은 다른 것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의 턱관절 질환에 대한 검사를 한 번해보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턱관절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보철물 자체의 문제보다 턱관절로 인해서 교합이 안맞거나 할수 있습니다.

    치아의 뿌리가 약할경우에는 교합력이 약하게 닿도록 조절하는 경우도 있어요.

    턱관절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주로 원인이 되는 것이 턱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 현상 때문인 경우가 많아요.

    해당되는 습관을 줄이면 턱관절 증상이 줄어들수도 있습니다 .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치과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턱관절이 보철때문에 의해서 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때문인지 먼저 파악을 하셔야될것같습니다. 치과에서 크라운 교합에 문제가 없다고 하면 다른 부분에서 문제가 있으신거 같은데, 대학병원 구강내과를 가셔서 턱관절 검사를 한번 해보시는게 좋으실것같습니다. 단순히 크라운 몇게 때문에 턱관절이 금방 문제가 생기거나 그렇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