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대출 금리가 내무 비싼데 갈아타기가 효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대출 만기가 다가 오는데 제가 회사생활 30년간 같은회사에 봉급을 받고 있으나 대출금리가 무려 6퍼센트입니다.

좀 해당은행에 배신감도들고, 참고로 연체한번 없었습미다.

해서 가라 타는게 효과 적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동하 경제전문가
      이동하 경제전문가
      연세대학교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환대출이라고 불리는 대출갈아타기의 경우, 현재 서비스가 잘 되어 있습니다.

      연체가 된 적도 없고, 신용점수가 상승한 경우라면, 대환대출을 이용하는 것도 대출 금리를 낮출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담보대출의 금리가 6%인 것을 감안한다면 만약 신용대출의 금리가 6%라고 하신다면 좋은 금리로 사용하고 계신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6%대의 신용대출을 사용하신다면 다른 은행으로 갈아탄다고 하시더라도 큰 금리 인하 효과를 보기는 힘들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요즘 일반 대출 6%면 거의 최저라고 보시면 됩니다.

      • 정책금리도 5%에 육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 신용대출이 6%대면

        저렴한 금리로 대출을 받는 것입니다.

      • 기준금리가 3.5% 이기 때문에 대출 금리도 같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환대출, 즉 기존 대출을 새로운 대출로 갈아타기 위해서는 아래 사항을 따져보셔야 합니다

      - 중도상환수수료 : 대환에 따른 이득(금리 인하에 따른 감소 금액)이 중도상환수수료와 비교하였을 때 유리한가

      - 채권매수매도비용 : 주택담보대출인 경우, 금액에 따라 발생하는 채권 매수,매도 비용이 대환에 따른 이득(금리 인하에 따른 감소 금액)과 비교하였을 때 유리한가

      - 부가조건 이행 : 새로운 대출 상품의 부가조건(급여이체, 청약통장 개설, 적금 개설, 자동이체 설정)에 따라 유리한가

      -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 기존 대출에 대하여 금리인하요구 및 인하 적용을 받았는가. 즉, 금리인하요구에 따라 금리가 인하된 후 대환대출을 고려하였는가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떤 대출인지는 모르겠으나, 최근 금리가 오르는 추세였기 때문에 낮게 받더라도 5%대를 받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다만, 은행마다 이자율이 다르고, 한 은행만 오래도록 거래한다고 해서 생각보다 메리트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기회에 이자율을 비교하여 대출 갈아타기를 하는 것도 재테크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시중은행에서 대환대출은 많이 하고 있으며, 현재 대촐은행에 금리 조정 요청을 하시고 안 받아들여지면 대환대출도 조건을 따져 적극 검토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복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 직장에서 오랜 직장생활을 하면서 주거래은행으로 이용해온 금융기관에서 신용대출금리가 6%대라고 하면 배신감이 드실만도 하네요. 하지만 미국을 비롯하여 전세계가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하고 있어서 시기적으로도 불리한 점이 있는 것도 분명합니다. 직장인이시고 신용등급이 나쁘지 않다면 주거래은행이나 대출기관을 바꿔서라도 낮은 금리를 이용하시는 게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에 <finda>나 <토스> 등 종합금융서비스앱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최저금리 상품들을 조회해보실 수 있으니 시도해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대환대출을 알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스빈다.

      대환대출을 하신다면 금리를 더 낮출 수도 있을 것이나

      질문자님의 금융상황에 따라서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