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심심한곰255
심심한곰255

우리 아이 말이 너무 많은데 다 받아줘야하죠?

퇴근하고 집에서 혼자 쉬고싶은데요.

미취학 아동인 딸래마가 말이 너무 많습니다.

옆에서 조잘조잘되는데 쉴수가없네요.

다 받아줘야는게 당연한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부모님과 떨어져 있는 시간동안 어떻게 지냈는지를 말해주고 싶을겁니다. 부모님 입장에서는 퇴근하고 돌아오면 녹초가 되어버리기 일쑨데 아이가 재잘거리니 귀찮을만도 하죠. 가능하면 들어줄 수 있는대로 들어주고 정말 힘들텐데 '엄마, 아빠가 지금은 너무 힘들고 피곤한데 조금 쉬었다가 얘기해도 될까?'라고 솔직하게 감정을 말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취학전 아이들의 경우 세상의 대부분의 것들이 처음경험하는 것들이고

      모르는 것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질문이 많은 것이지요.

      이때 부모가 질문에 답해주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아이가 부모가 정확하지는

      않아도 자신의 말에 계속 답을 해주는 부분에 있어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는 감정을 느끼게 되어 부모와 자식 사이 정서에 좋은 영향을 줍니다.

      피곤하더라도 아이가 묻는 질문에 성심성의껏 답변해주시고 정 힘든 경우 때때로 아이에게 솔직하게

      표현해 주신다면 아이도 이해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퇴근 후 피곤한 몸을 이끌고 집에 왔는데, 또 아이가 기다리고 있어서 많이 힘드시죠?

      물론, 딸 아이가 한창 말이 많고 궁금한 것도 많고 할 시기라,

      부모 입장에서 다소 힘드실 수 있겠지만 또 아이에게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보호자께서 말을 잘 들어주고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힘드시겠지만, 우리 같이 인내를 가지고 아이의 발달을 위해서 같이 힘썼으면 좋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말을 다 받아주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듭니다.

      아이가 혼자 집중하면서 놀 수 있는 취미를 만들어 주세요.

      그게 아이에게도 부모에게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충분히 들어주셨다면 "엄마가 좀 쉬고싶으니까 이따가 얘기하자~" 라고 하셔도 됩니다. 혹은 "이제 엄마가 좀 쉬어도 될까?"라고 물어보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 받아주시는 것은 어렵겠지만

      그렇다고 조용히 하라던지

      무시를 하는 행동은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 받아주실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무시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아이가 말이 많다면 다른 놀이를 통해서

      말을 줄이게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많이 하는 것도 좋지만

      아이에게 필요한 말을 하도록 하고 너무 많은 말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있다는 측면도 가르쳐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이 많은 아동은 관계본능에 문제를 보이는 경우로 보아야 합니다. 관계본능이란 아동이 대상을 상대하면서 다양한 에너지를 받아들이고 자아를 확대해 나가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관계본능론(object relations theory)이란 후기 정신분석의 이론으로서 자아와 대상(인간을 포함하여 자아가 관계를 갖는 모든 사물)과의 사이에서 성립하는 관계입니다. 피곤하시겠지만 아이에게 잘 대꾸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상호작용이 잘 되는 부모는 아이의 정서에 큰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사춘기가 되면, 자신의 방에서 거의 나오지 않으며, 말문을 일제히 닫아 버리니,

      지금 이 순간 아이의 재잘거림도 소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마 질문도 많이 할것입니다. '왜'병이라고도 하죠... 아이가 물어보는 '왜?'라는 질문은 아이의 인지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궁금해 하지 않는 것보다 많이 물어 보는 것이 아이에게는 더 좋습니다.

      솔직히 바쁘고 힘든데 일일이 아이의 물음에 답을 해주는 게 쉽진 않지만 되도록이면 성심성의껏 받아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