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미국 물류비는 언제 안정화 될가요?
3~4배 상승한 물류비...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로써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진 상황임.
갑질하는 선사들에게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해안해주면 결국 다 굶어 죽게 되는 꼴이 되어비럴거 같음.
중소기업들은 물류비 인상으로 인해 수출이 어려워지고, 판매가 감소하고 매출이 없으니 폐업을 하게 된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상운임 급등의 원인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교역 부진에 따른 선사들의 운용 선박 축소, 선사들의 수익 증대를 위한 선박 추가공급 지연, 중국발 물동량 급증에 따른 선박 공급의 중국 쏠림현상 등으로 보여집니다. 언젠가 정상화가 되겠지만 당분간 물류비 부담은 불가피한 부분으로 보여집니다.
이런 상황에 정부는 물류비와 선복 지원과 미주, 유럽 등 주요항로에 추가 임시선박을 투입하였습니다. 미주노선 선적공간이 필요한 중소·중견 수출기업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운영하는 온라인수출통합플랫폼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는 수출입 기업들의 물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한국해운협회, 한국무역협회 등 유관기관들이 참여하는 민관합동 '수출입물류종합대응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건의하시어 자금 지원 등의 혜택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작년부터 해상운임이 급등하기 시작했는데, 해상운임 급등의 원인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교역 부진에 따른 선사들의 운용 선박 축소, 선사들의 수익 증대를 위한 선박 추가공급 지연, 중국발 물동량 급증에 따른 선박 공급의 중국 쏠림현상 등이 있습니다.
해상운임은 올해에도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실제로 미국과 유럽 노선 운임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운임 급등으로 어려워하는 수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나라 해운사인 HMM과 '수출 중소기업 장기운송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미국과 유럽 노선의 선복을 중소기업에 우선 지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과 별개로 글로벌 물동량 급증에 따른 해상운임 상승과 선복난에 이어, 최근 발생한 수에즈 운하 사고 등으로 해상물류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어 언제쯤 운임이 정상화 될 것인지 예측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19로 인한 선복 예측의 실패 등의 사유로 해상운임이 대폭 상승하여 수출입업체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이런저런 지원사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역부족이며 전문가들의 의견이 갈리고는 있지만 다수가 2021년까지는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에서 홍보하고 있는 운임공동구매 내용에 대하여 안내드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bs.kita.net/business/business01_list.jsp?sCmd=VIEW&nPage=1&nPostIndex=1809078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