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새침한개52
새침한개52

이번달 금통위 금히인상 정도는 얼마일까요?

금리인상에 상당히 민감한 시기네요 바램이 있다면 인상폭이 작았으면 하는데 과연 이번 인상은 어느정도이고 상단은 어디서 끝날까 마니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번 11월 24일에 있을 금통위에서는 0.25%가 인상되지 않을까 추측됩니다.

      미국의 0.75%인상에도 불구하고 현재 채권시장의 상황 및 국가경제를 고려하였을 때는 0.5%인상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듯 합니다.

      따라서, 저는 0.25%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빅스텝을 보일 가능성이

      상당해 보입니다.

      가계 및 기업 등의 부채를 고려하였을 때, 자이언트스텝보다

      빅스텝의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커보이며 내년 상반기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이며 내년에 4~4.75% 사이에 기준금리가 형성되지 않을까 싶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금통위에서의 금리인상에 우리나라의 많은 국민들이 이목을 집중하고 있는데, 경기둔화 신호에 0.25%의 금리인상이 될것이다. vs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많이 나 0.5% 금리인상이 될 것이다라는 의견이 나뉘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금더 상황을 지켜봐야겠지만, 아무래도 0.5%가 조금 더 가능성있지 않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미연준의 FOMC 회의 때 금리를 0.75% 인상을 하며 한국(3%)과 미국(4%)의 금리 차이가 1%로 벌어져 있어서 0.5%의 추가 금리 인상이 유력합니다. 수입물가와 환율 안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미국 기준 금리와의 차이를 크게 벌릴 여유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우리나라 기준금리와는 1% 격차가 발생하였습니다. 베이비스텝이나 자이언트 스텝정도 예상을 하고 있는데요..경제상황을 고려하면 베이비스텝이나 미국연준과의 격차를 생각하면 빅스텝정도가 될것으로 보입니다. 왜냐면 미국연준의 또한번 금리인상이 올해 있기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미국 기준금리와 한국 기준금리 차이를 1%선에서 유지한다고 하였으므로 이번 11월에는 0.5%의 빅스텝을 할것으로 보입니다. 0.5%를 올려야 3.5%가 되어 12월 FOMC에서 0.5% 상승시 4.5%로 맞출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