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동물이나 곤충중에서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색으로 분류하여 보는 생물이 있나요?

인간은 가시광선만 색으로 볼수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물이나 곤충중에서도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일종의 색으로 분류해서 볼 수 있는 동물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많은 종류의 새들은 자외선을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자외선을 통해 파트너를 선택하거나 먹이를 찾는 데 활용합니다. 또 나비와 벌은 자외선을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꽃에서 자외선을 반사하는 특정 부분을 보고 꽃을 찾아가 꿀을 채집합니다.
    몇몇 종류의 뱀, 특히 구더기뱀과 방울뱀은 '열화상 카메라'처럼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특수한 센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피트 기관을 통해 주변의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밤에도 먹이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인간의 시각 체계는 가시광선 영역인 약 380nm에서 740nm 사이의 빛을 색으로 인식합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우리 눈에 있는 세 종류의 원추세포가 각각 빨강, 초록, 파랑 빛에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간 이외의 동물들, 특히 곤충과 일부 조류, 파충류, 어류 등은 가시광선 밖의 영역을 색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곤충 중에서 대표적으로 꿀벌은 자외선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꿀벌의 시각 체계에는 자외선 감지 원추세포가 있어, 약 300nm에서 400nm 사이의 빛을 색으로 인식합니다. 이는 꽃이 자외선을 반사하는 특정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꿀벌은 이 패턴을 통해 꽃을 더 잘 찾을 수 있습니다. 꿀벌에게 자외선은 인간에게 빨강, 초록, 파랑과 같은 하나의 색상으로 인식되고 이는 꽃의 중심을 찾고 꿀을 채집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조류 중에서는 특히 참새목 새들이 자외선을 인식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이들은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깃털을 가진 동료를 선호하여 짝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받는다고 합니다. 또한 자외선을 통해 먹이를 찾거나 포식자를 피하는 데도 유리한 시각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새들은 자외선 반사로 인해 작은 곤충이나 베리류를 더 쉽게 발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파충류와 어류 중에서도 일부는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색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그 예로 뱀의 일부 종은 적외선을 감지하여 열원을 색으로 인식합니다. 이는 뱀이 어두운 환경에서 따뜻한 피사체, 즉 먹이를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능력은 포식자가 먹이를 찾고 생존하는 데 있어 큰 장점이 됩니다.

    즉, 여러 동물과 곤충은 인간과는 다른 방식으로 빛을 인식하고 색을 분류하고 특히 꿀벌, 일부 조류, 파충류, 어류는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색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은 생존과 번식, 먹이 찾기, 포식자 회피 등 다양한 생존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많은 동물들은 사람과 다른 범위의 파장의 빛으로 세상을 보기도합니다.

    꽃에서 꿀을 먹는 곤충들의 경우 자외선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곤충들이 보는 꽃의 모습은 우리가 보는 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꽃의 경우 꿀이 있는 위치에 곤충들이 볼 수 있는 자외선이 많이 반사되어 곤충들이 이를 보고 꿀의 위치를 찾기 쉽게 해줍니다.

    또한 많은 새들도 자외선 영역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눈에는 단조롭게 보이는 새의 무늬가 새들의 입장에서는 더 화려하게 보일 수 있고, 개체간의 차이도 명확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고양이, 개, 연어 등도 자외선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뱀의 경우 자외선영역 파장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간을 기준으로 가시광선영역을 잡은 것일 뿐 동물들은 제각각 다양한 범위의 파장으로 세상을 본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네, 동물과 곤충 중에는 인간이 볼 수 없는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색으로 볼 수 있는 종들이 있습니다.

    나비나 꿀벌, 딱정벌레 등 많은 곤충들은 인간보다 더 많은 종류의 색깔을 볼 수 있으며, 자외선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꽃잎의 자외선 패턴을 구분하여 꿀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꿀벌은 꽃잎의 자외선 반사를 통해 꽃을 찾고, 나비는 자외선 패턴을 이용하여 서로를 인식합니다.

    또한 참새나 앵무새, 매 등 일부 새들도 자외선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먹이를 찾거나 다른 새들과 의사소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죠. 예를 들어, 참새는 자외선을 통해 곤충의 키틴질 껍질을 볼 수 있으며, 앵무새는 자외선 패턴을 사용하여 짝을 선택합니다.

    그 외 일부 도마뱀과 생선도 자외선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뱀은 눈에 열 감지 기관이 있어 어둠 속에서도 먹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는 뱀의 눈꺼풀 아래에 있는 특수한 기관인 피트 덕분이며, 피트는 먹이 동물이 발산하는 열을 감지하여 뱀이 공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살모사는 피트를 사용하여 밤에도 쥐와 같은 온혈 동물을 사냥합니다.

    그리고 일부 박쥐는 눈 대신 초음파를 사용하여 주변을 감지하지만, 적외선을 볼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박쥐가 어두운 곳에서 먹이나 장애물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동물과 곤충이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어떻게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눈의 특수한 세포와 광수용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네, 일부 동물과 곤충은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색으로 분류하여 볼 수 있는 생물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벌레들은 자외선을 감지하고 활용하여 먹이나 파트너를 찾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파충류나 어떤 파충류나 파충류가 자외선을 감지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색을 인식하는 측면에서 사람은 다양한 색깔을 볼 수 있지만 많은 동물의 경우 색맹인 경우가 많습니다. 개의 경우에는 붉은색과 초록색을 구분하지 못하고 다른 색도 흐리게 보인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사람과는 다르게 색을 볼 수 있는 범위는 넓습니다. 나비 등의 곤충류의 경우 자외선을 볼 수 있으며 뱀이나 쥐 같은 경우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가시광선만 색으로 볼 수 있지만 일부 동물과 곤충은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색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파충류와 어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먹이를 찾거나 서로를 구별하는 데 사용합니다. 그리고 밤에 빛을 발하는 동물들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서로를 구별하고 통신하는 데 사용합니다.

    그리고 일부 곤충들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꽃의 광고색을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꽃의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부분을 따라서 꽃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곤충들은 자신의 머리에 있는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부분을 이용하여 서로를 구별하고 교배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동물들은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색으로 인식하는 능력이 있지만 인간이 인식하는 색과는 다른 방식으로 인식합니다.

    이처럼 동물이나 곤충 중에서도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색으로 분류하여 보는 생물이 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색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네, 여러 동물과 곤충들이 인간과는 다른 방식으로 빛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외선을 볼 수 있는 생물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벌, 나비, 새와 같은 동물들은 자외선을 색으로 인식할 수 있어 꽃의 패턴을 더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뱀 중 일부 종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특별한 기관이 있어 따뜻한 피를 가진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받습니다. 또한, 일부 물고기와 양서류도 자외선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은 각 생물의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간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이러한 빛의 스펙트럼을 인식함으로써, 이들 동물은 먹이를 찾거나, 포식자를 피하거나, 짝을 찾는 데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