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다정한고양이37
다정한고양이3722.11.30

조선시대 왕 이름 왜 다른지 궁금해요

조선시대 왕 이름을 보면

세종 정종 같이 종으로 끝나는 왕이 있고

영조 정조 인조 처럼 조로 끝나는 왕이 있고

연산군 광해군 처럼 군으로 끝나는 왕이 있는데

무슨 차이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흔히들 말하는 임금의 조 종 군의 차이입니다.

    나라를 세우거나 공이 큰 임금은 덕이많은 임금은 임금이 안되거나 쫒겨난 임금은 을 쓰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조, ~종은 후대로 부터 묘호, 시호를 받아 정식으로 왕으로 인정 받은 케이스이고(* 대부분의 케이스, ~실록으로 편찬) ~군은 후대로 부터 왕으로 인정 받지 못한 케이스로써, 연산군과 광해군이 대표적인 ~군 호를 받은 임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 ( ~ 일기로 편찬)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묘호에 대한 질문을 주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조선의 왕들은 묘호를 가지고 잇는데, 묘호는 임금이 죽은 뒤에 생전의 공덕을 기리면서 붙인 것을 말합니다. (태조, 세종 등)

    이 때 대체로 나라를 세운 업적이 있거나 국난을 극복하거나 반정을 통해 나라의 정통을 다시 세운 왕에게는 ‘조’의 묘호를,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하거나, 나라를 다스린 덕이 있거나, 선왕의 뜻을 잘 계승한 왕에게는 ‘종’의 묘효를 붙였다고 합니다.

    광해군이나 연산군처럼 폐위된 후 복권되지 않은 군주의 신위는 종묘에 없기 때문에 묘호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의 호는 후대의 왕이 선왕을 높이고자 부르는 이름이였습니다. 원래는 그 왕조를 처음으로 만든 왕에게만 - 조 라고 붙이는 건데 조선시대에는 이 원칙이 잘 안지켜지었지요. 그래서 태조 이성계만 - 조 라는 호를 써야 하는데 세조, 정조,인조 처럼 후대의 왕이 선대왕을 높여 부르기 위해서 쓴것이고 - ' 군' 이라 함은 반대로 ' - 종' 의 낮춤말이지요. 즉 왕을 군으로 격하 시킴으로써 왕의 자격도 없는 그냥 단순한 왕자였다 라고 깍아내리는 호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