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인자한동박새132
인자한동박새13221.03.23

대상포진으로 나타나는 후유증은??

어머니가 대상포진을 앓고계신데

현재 항바이러스제를 복용중이며 치료기간은 어느정도이고

허리통증을 종종 표현하셔서 대상포진에 혹시 후유증같은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혹시 재발율도 높은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상포진은 과거 감염되었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다가 피곤하거나 면역력이 저하 됨에 따라 재활성화 되면서 피부에 띠를 두른듯한 발진과 수포, 통증을 특징으로 하여 나타납니다.

    신경절을 따라 침범하며 신체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드물긴 하지만 눈이나 뇌속에도 감염을 일으켜 홍채염, 각막염, 뇌수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기저질환이 많은 노약자나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분의 경우 전신 감염으로 확산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통증은 감염 부위와 정도, 치료 시작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통증이 전혀 없이 치료가 끝나기도 하며, 범위가 넓거나 치료 시작시기가 늦어진 경우 바이러스 치료 후에도 통증이 남아 대상포진후 신경통의 형태로 지속될 수 있습니다. 가급적 빠른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통증이 심할 경우 강한 진통제와 신경통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약을 복용하게 되고, 신경차단술과 같은 시술을 받기도 합니다.

    또한 처음에 발생했던 부위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에서도 재발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 후에도 감염이 될 수 있으나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경우보다는 가볍게 지나가는 경우가 많으며, 연구에서도 나타났듯이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의 이환 비율도 많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60세 이후 성인이나 그 이전 연령이라도 반복적으로 대상포진에 감염되는 경우 특별한 금기 사항이 아닌 경우 대상포진 예방접종이 권장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윤대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상 포진에서 치료는 항바이러스제와 통증 경감을 위한 비스테로이드 소염 진통제, 항경련제나 항우울제 등의 약물이 되겠습니다. 보통 일주일 정도 사용하면 증상이 호전이 됩니다. 대상 포진은 급성기 치료가 완료 됬다고 하더라도 추후에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올 수 있습니다. 대상 포진이 발생했던 곳으로 만성 통증으로 올 수 있으며 상당히 심한 통증을 호소 하기도 합니다. 나이가 고령일 수록 발생 가능성은 더 높으며 신경통이 발생 했을 경우에는 통증 치료를 주 목적으로 약물이라던지 시술이 이루어 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상포진이 생겼다면 많이 아프시고 후유증도 걱정되실 거라 생각되네요. 항바이러스제는 1주일 복용을 합니다. 수포는 대략 2주정도 지나면 깨끗해지구요. 급성기 통증은 4주 이내에 좋아집니다만 경우에 따라 그 이후에도 신경통증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지요. 아직은 만성후유증이 생길지아닐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상포진 증상

    1. 피부발진

    2. 물집

    3. 심한 통증

    4. 감각이상


    원인

    1.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어릴 때 수두를 발병시키고, 그 후 잠복상태로 있다가, 다시 어른이 되었을 때 활성화되면서 발생시킵니다.


    대상포진 치료

    1. Acyclovir등의 항바이러스제로 사용

    2. 통증심한경우 모르핀사용

    3. 국소마취 (리도카인사용)

    4. 신경차단

    5. 마음의 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