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디스카운트는 뭘 의미하는 말인가요?
한국 주식과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면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리스크가 있다고 말을 하기도 하는데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정확히 어떤 것들을 의미하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한국 주식 시장의 주가가 다른 선진국이나 비슷한 수준의 경제 규모를 가진 국가들의 주식 시장에 비해 저평가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한국 기업들의 실적이나 성장 잠재력에 비해 주가가 낮게 형성되는 경향을 일컫는 말입니다. 마치 상품에 '한국산'이라는 이유만으로 할인이 붙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한국 기업들은 이익에 비해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등 주주에게 돌려주는 비율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매력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순환 출자, 부실한 이사회 운영 등 불투명한 지배 구조는 기업 가치 평가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저하시킵니다. 특히 오너 일가의 영향력이 과도한 경우, 소액 주주들의 권익이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란 한국 상장기업의 주식이 실적이나 경쟁력에 비해 해외 비슷한 기업들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같은 수준의 이익이나 자산을 가진 기업이라도 한국 기업은 외국 기업보다 주가가 저평가되는 경우가 많다는 뜻입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기업 지배구조가 투명하지 않고, 대주주가 자신의 이익을 우선하는 경영 관행, 주주에게 이익을 돌려주는 배당이나 자사주 소각 같은 주주환원이 부족한 점이 꼽힙니다. 여기에 회계 정보의 불투명성, 낮은 기관투자자 비중, 그리고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이 해외에 비해 떨어지는 점도 영향을 줍니다.
이런 구조적 문제들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을 꺼리게 되고, 그 결과 국내 주식의 수익성도 낮아지며 투자금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현상까지 이어집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2000년대 초부터 꾸준히 지적되어 왔고, 최근까지도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는 한국 증시의 고질적인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란 우리나라가 경기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업의 높은 수출 의존도, 노동시장의 경직성, 회계의 불투명성 등의 이유로 인한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실제보다 주가 가치를 낮게 책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같은 매출을 올리고 같은 업종의 기업이라도 한국시장에 상장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주가가 다른
기업에 비해서 낮은 것을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부릅니다
이런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상법개정이 늦고 주주들의 이익을 배반하는 결정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한국 주식 시장이 다른 선진국 증시에 비해 저평가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불투명한 지배 구조, 미흡한 주주 환원 정책, 정치·사회적 불확실성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주식시장에 상장된 종목(기업)이 타 국가의 증시에 상장된 종목(기업)에 비해 낮은 가치(주가)로 평가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동일한 영업이익과 업종에 속하는 기업이라 해도 한국 기업이 해외 기업에 비해 주식가치가 낮은 편인데, 낮은 배당수익률, 잦은 물적 분할 등이 그 사유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한국 주식시장이 한국경제에 영향을 받는 것 뿐만 아니라 북한의 분단리스크나 강성노조리스크 등 한국만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저평가되는 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리아디스카운트라는 말은 국내 금융시장이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적용을 할인 받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금융시장이 이익대비 그리고 순자산대비 상대적으고 신흥국과 선진국대비 프리미엄 밸류에이션 적용이 더 낮게 평가받고 있다는 의미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비슷한 수준의 글로벌 기업들보다 주식 가치가 떨어진 것을 말합니다.
주로 한국 주식시장의 특징인 단기 투자 성향과 지배구조의 취약성으로 인한 주주 환원정치의 부재, 정치적 리스크, 내수경기 등의 요인으로 주가가 저평가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란 한국 상장 기업의 주식 가치의
평가 수준이 외국 상장 기업에 의해서 낮게 형성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김치 프리미엄의 반대 위치에 있는 의미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