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식사 시간에 편식이 심해 전혀 먹지 않으려고 할 때 효과적인 방법은?
아이가 식사 시간마다 편식이 심해 특정 음식은 전혀 먹지 않으려 합니다. 억지로 먹이기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다양한 음식을 접하게 하려면 어떤 방법이 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편식하는 아이에게 억지로 먹이는 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의 입맛에 맞게, 작은 음식을 다양한 음식에 노출시키고, 함께 요리하거나 플레이팅에 참여하게 하면 자연스럽게 관심이 생깁니다. 먹었을 때, 칭찬과 긍정적인 경험을 연결해 주면 다양한 음식을 시도하는 동기가 생겨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먹지 않으려는 경향이 높은 이유는 편식 이라는 식습관 때문 인데요.
아이가 특정 음식을 거부하는 이유는
새로운 것이어서, 음식의 질감이 좋지 않았던 경험으로 인해서, 냄새가 싫어서 등의 다양한 원인이 존재 합니다.
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음식은 골고루 먹어야 함을 인지시켜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억지로 먹이긴 보담도 이 음식을 먹으면 우리 몸이 건강해 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어.
오늘은 딱 반만 먹어보는 것은 어떨까? 라고 부드럽게 말을 전달을 해주면서 아이가 직접적으로 음식을 먹어볼 수
있도록 권해 보세요.
그리고 아이가 특정 음식에 대한 거부가 심하다면 그 특정 음식으로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서 제공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면 김밥. 유부초밥. 전. 피자. 밥버거. 튀김. 기타 등등을 만들어서 제공해 주세요.
또한 특정 음식을 함께 요리활동을 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음식의 대한 소중함을 알려주는 것도 편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어질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전혀 먹지 않으려 할 때는 강압보다 경험과 선택 중심의 접근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두세 가지 중 하나의 음식을 고르게 하면 거부감이 줄고 스스로 먹었다는 성취감이 생깁니다. 작은 양으로 시작하여 '한 입 규칙'처럼 아주 작은 양만 시도하게 하면 성공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아이의 편식 습관으로 인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식사 시간에 편식을 심하게 보일 때는 억지로 먹이기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다양한 음식을 접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먼저 식사 분위기를 즐겁고 편안하게 만들어 아이가 긴장하지 않도록 하세요. 새로운 음식을 강요하기보다 작은 양을 곁들이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과 함께 제공해 친숙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요리 과정에 아이를 참여시켜 직접 재료를 만지고 준비하게 하면 호기심과 흥미가 생겨 거부감이 줄어듭니다. 부모가 모범적으로 다양한 음식을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중요한 학습 기회가 됩니다. 칭찬과 격려를 통해 아이가 새로운 음식을 시도했을 때 긍정적인 경험을 강화하면 점차 편식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먹기 전이라도 만지고 향 맡고 요니 과정 참여하게 하면 음식 거부가 빠르게 낮아져요
처음부터 한입 강요보다 아이가 선택한 방식으로 접근하게 하면 성공 확률이 높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