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왜 계속 발전하지 않고 내리막인가요?
부산은 현재 기업도 없고 젊은 세대들도 다빠져나가고 있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왜 부산에 투자를 하지 않는건가요?
기업들은 왜 계속 없어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의 인구유출은 결국 기업의 투자 부족이 원인입니다.
기업의 투자 부족은 수도권에 비해 산업 인프라와 지원 시설이 부족하여 기업 유치가 어렵고, 부산시의 기업 유치 정책이 실효성 있게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 비판이 있습니다.
그리고 부산의 평균 임금이 다른 대도시에 비해 낮아, 우수 인재 확보와 유지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더하여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YK스틸 사례처럼, 주거지역 확대로 인한 환경 민원 증가로 기존 기업들이 이전을 고려하게 됩니다.
결국, 규제와 기업과 사람(환경), 그리고 기업을 끌어드릴 산업 인프라 부족이 지금의 부산을 만들고 있습니다. 부산이 직면한 문제들은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려운 이슈입니다. 따라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민간 부문의 협력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의 경제 성장 둔화는 산업 구조의 변화와 경쟁력 부족, 수도권 집중화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또한, 젊은 세대의 수도권 이동과 기업 유치의 어려움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제약을 주고, 부산의 산업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투자와 기업 유치가 부족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은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출되면서 내리막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들이 투자를 안하는 이유도 부산에 일할 인구가 없기 때문이고 이것이 서로 맞물리면서
부산의 공동화가 발생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수도권 밀집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무역이 이번에 코로나 지나고 나서 하락기를 걸어가고 있습니다 부산에서 많은 산업들은 조선과 항만과 같은 수출 제품들이 많지요 경기도 이천이라든가 평택이라든가 이런 것들은 수출을 안 하더라도 내수적으로 돌릴 수 있는 부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수출만 특화되었는데 수출이 안 되면 망하는 것이지요 부산시장이라던가 그러한 정치인들이 힘을 써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우리나라는 수도권 중심으로 가고 있습니다. 수도권 1극 체제입니다
주요 기업들이 생산 시설이나 연구 시설을 만들 때 수원 화성 라인 천안 라인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 아래로 내려가면 연구 인력을 구하기도 어렵고 운영 자체가 어렵다는 말이 있습니다
부산도 과거에는 자체적으로 산업을 육성했지만 점점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힘을 잃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 뿐만아니라 서울 수도권을 제외한 전 지방도시가 성장을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에 집중된 인프라와 기업 네트워킹, 정부에서도 사실상 수도권 위주의 지원 정책이 많다보니 나머지 도시는 인구도 줄고 무너지고 있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은 과거 철강, 해운 등 중공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벌던 지역입니다.
바다르 끼고 있으며 수출이나 수입등 무역도 활발한 곳이었죠.
다만 이러한 중공업이 침체되면서 인력이 타 지역으로 유출되고 있으며 인재 육성도 어려워 이탈을 지켜보고 있죠.
수도권에 비해 취업기회도 한정적이며 주거 비용또한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하는 점도 젊은 세대의 이탈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부산은 계속 발전하지 못하고 내리막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부산이 계속 발전하지 못하는 것은
다른 이유가 있기 보다는 좋은 기업들, 일자리가 없어서
젊은이들이 빠져나가고 있고
인구가 순유출이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