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에 A군 B군 이렇게 나눠지던데 왜 나누는건가요?
감염병을 보면 A군 @@@감염병 그리고 B군 @@@감염병 같은 것 처럼, 그냥 쉽게 나누면 되는데 이름이 A와 B로 나눠지던데
왜 나누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감염병을 말씀하신 것처럼 1군, 2군으로 분류한 것은 해당 감염병이 얼마나 심각한지, 전염력이 강한지, 감시가 필요한지 등으로 나누어 해당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1군에는 콜레라, 페스트,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등이 있어 빠르게 전파될 위험이 있으므로 격리, 즉시 신고와 같은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감염병을 A군, B군으로 나누는 이유가 궁금하시군요. 이러한 구분은 감염병의 특성과 관리의 필요성에 따라 정해진 것입니다. 감염병은 전염성과 치사율에 따라 위험도가 다르고 이에 따라 관리와 대응 방법도 달라집니다. 그래서 각각의 감염병을 그 특성에 맞게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A군 감염병은 주로 신속하고 엄격한 관리가 필요한 것들입니다. 전염성이 매우 높거나 발생 시 공중보건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빠른 대처가 중요합니다. 반면 B군 감염병은 상대적으로 관리가 덜 까다롭지만 여전히 주의가 필요한 감염병들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나누는 것은 의료자원과 인력의 효율적 분배를 도모하며, 감염병 발생 시 빠르고 정확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감염병을 A군, B군 등으로 나누는 이유는 각 감염병의 위험도, 전파력, 치명률, 격리 필요성, 신고 시기 등 질병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방역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