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순박한호랑이164
순박한호랑이164

출산후 허벅지 바같쪽 라인이 저리고 감각 저하로 정형외과를 다녀왔는데요

성별
여성
나이대
26

병원을 다녀왔는데 허리랑 골반이 틀어졌다고 그러더라구요 허리 디스크는 다행이 없다고 하셨어요 물리치료 받고 가라해서 받고 왔고요 허리랑 골반이 틀어지면서 신경을 눌러서 허벅지 바깥쪽 라인이 저리고 감각 저하가 일어난건가요? 약도 처방 받아 왔는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랑 근이완제? 처방 해주셨는데 처방 해준만큼 약 다 먹으면 증상이 좋아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출산 이후에 허벅지 바깥쪽 라인의 감각이 저하되고 저린감이 있어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를 하니 허리와 골반이 틀어졌고 디스크는 큰 문제가 없어 물리치료를 받고 오셨다면 적절한 스트레칭 및 운동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출산을 하게되면 아무래도 복부에 있는 코어 근육이 많이 늘어나면서 척추의 안정성을 잡아주는 코어근육이 많이 약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적절한 운동이 중요하며 허리 및 척추의 안정성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코어근육을 해주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표적인 코어근육 운동으로는 플랭크와 브릿지 버드독 데드버그등의 운동이 있고 유튜브에 검색하시어 따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도수치료를 통해 치료 및 운동 방법등을 배우셔서 같이 병행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출산후에는 관절과 인대가약해지면서 통증이나 불편감이생길수있는데요 보통은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꾸준하게복용하고 물리치료까지 같이 병행한다면 증상이 호전될수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지나도 증상이 호전되지않는다면 병원에서 추가적인검사를받아보시고 적절한치료를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와 골반이 틀어지면 신경이 눌려 허벅지 바깥쪽에 저리거나 감각 저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처방받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와 근이완제는 통증 완화와 근육 이완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약을 다 복용하면 증상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지만 개인차가 있으니 증상이 계속되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세요 물리치료와 함께 꾸준한 운동과 자세 교정도 중요하니 전문의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출산 후 골반이 틀어지면서 좌골신경이 눌려 허벅지 외측 저림이 나타날 수 있어요. 골반 교정과 물리치료로 대부분 호전되는데, 처방받은 약은 통증과 염증을 줄이고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어요. 약 복용이 끝나도 증상이 지속되면 추가 물리치료나 운동치료가 필요할 수 있는데, 산후 조리 기간에는 무리한 운동은 피하시고 가벼운 스트레칭부터 시작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출산 후 허리와 골반의 불균형으로 인해 신경이 눌리면서 허벅지 바깥쪽 라인에 저림과 감각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흔히 출산 후 자세 변화나 골반의 불균형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물리치료와 함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및 근이완제를 처방받으셨다면, 이는 염증을 줄이고 근육을 이완시켜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약을 처방된 대로 복용하면 증상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지만, 증상이 얼마나 빨리 회복될지는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를 꾸준히 받으면서 허리와 골반의 정렬을 교정하고, 처방받은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에는 다시 병원을 방문하여 추가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근육이나 관절의 불균형으로 인해 신경이나 혈관이 압박을 받는 경우 저림과 감각저하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선은 처방받으신 약을 복용하시고 물리치료를 지속해보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차도가 없는 경우에는 조금 더 적극적인 치료방법을 고려하시거나 집에서 다리 근육과 골반 주변에 적용할 수 있는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가족의 도움을 받거나 스스로 적용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