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침착한게142
침착한게142

증권사연금저축과 irp계좌에서 연900 사고있습니다

뒤늦게 눈을떠서 작년부터 연금저축은 600만원 irp 계좌에서는 300만 을 매년 사고 있는데요. 년 900 한도 채우고 있습니다. 문제는 40살부터 시작했다는건데요. 60세까지 모을 예정인데 너무 늦게시작한것같아 후회스럽네요. 물론 그전엔 부동산을 사기위해 돈을 모아서 이런 노후준비나 절세계좌는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40살부터 시작한저 너무 늦은걸까요?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40대의 연금저축가입률은 30%내외에 불과하기 때문에 늦은게 아니며 40세부터 60세까지 20년간 연간 900만원을 꾸준히 적립할 경우의 예상 결과를 살펴보고 판단해보겠습니다.

    세엑공제는 5500만원 초과시엔 13.2%이며 그 이하는 16.5%입니다. 그렇다면 5500만원까지는 148만5천원의 공제효과 가 생깁니다. 이를 기반으로 20년간 누적한다고 해도 2700~2970만원 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거기다 연 5%의 복리 수익률만 900만원을 근거로 적립금액을 보게되면 20년간 약 3억원 가까운금액이 적립됩니다. 거기다가 해당 계좌는 모두 절세로 투자수익에 대해서는 비과세가 되며 나중에 연금수령시 연령에 따라서 3.3~5.5%의 낮은 세율로 적용되므로 실직 수익률은 더 크다는 점입니다.

    1명 평가
  • 40세에 시작해도 20년 이상 납입하면 노후 준비에 충분히 의미가 있습니다. 세제 혜택과 복리 효과가 있기 때문에 늦게 시작했다고 후회하기 보다 지금부터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정적 노후 자산 형성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늦었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이 오히려 제일 빠른 시점이라고들 합니다. 연금저축이랑 IRP 합쳐서 연 900 한도 꽉 채우는 건 세액공제 효과도 크고 꾸준히 쌓이면 체감 이상으로 불어납니다. 금융권에서는 보통 20년 이상 꾸준히 유지한 사람들을 안정적인 노후 준비로 본다고 합니다. 제 생각에는 40대부터라도 세제 혜택 챙기면서 60세까지 유지한다면 충분히 의미 있는 금액이 모일 수 있습니다. 사실 부동산 먼저 챙겼다는 것도 자산 포트폴리오 차원에서는 나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개인 연금 저축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닙니다.

    40살에 시작하셨어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20년 정도 운영하게 된다면 충분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늦었다고 생각할떄가 가장 빠른 순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과 irp를 합쳐서 해당되는 금액을 납입하게 된다면 일반적인 정년인 60세까지를 기준으로 약 20년동안 5%의 수익을 계획해도 이는 최종적으로 3억이상의 금액을 모을 수 있는 이론적인 수치가 나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최대치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시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40살부터 시작했다고 너무 늦었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지금이라도 이렇게 의식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마음가짐이 정말 중요한 것이고 정말 훌륭한 재테크 활동이니까요.

    앞으로 60세까지 꾸준히 모을 시간이 꽤 많이 남았으니 충분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