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엄격한비단벌레5
엄격한비단벌레5

소나무가 1년 내내 푸른색인 이유는?

소나무의 경우 1년 내내 푸른색을 띄는 이유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질문을 남깁니다. 잎의 크기가 작아서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소나무만의 화학작용이 있는것인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소나무는 상록수로 상록수의 잎사귀 안에 있는 엽록소가 계절에 따라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계절에 상관없이 언제나 녹색 잎을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소나무는 말씀처럼 잎의 크기가 작은 침엽수이기 때문에 겨울에도 잎이 얼지 않기에 엽록소를 분해하여 낙엽을 만들지 않고도 상록수로 살아남을 수 있는 것입니다.

  • 소나무가 1년 내내 푸른색을 유지하는 이유는 잎이 침엽 형태로 작고, 두꺼운 큐티클 층과 왁스층이 있어 수분 증발을 줄여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겨울에도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광합성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나무는 잎 속에 엽록소를 계속 유지하며, 잎이 떨어지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도록 적응된 것입니다. 특별한 화학작용보다는 이러한 물리적 구조와 기능이 소나무가 사계절 푸르게 지낼 수 있는 비결입니다.

  • 안녕하세요.

    소나무는 가을이 되어도 단풍으로 물들지 않으며, 일년 내내 푸른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처럼 사계절 내내 푸른 나무를 '상록수'라고 부릅니다. 우선 소나무와 같은 상록수의 잎은 바늘 모양으로 매우 작고, 단단한 표피로 덮여 있어 물의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이러한 잎은 표면적이 작아 증발로 인한 수분 손실이 적고, 가뭄이나 추운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상록수는 나뭇잎을 이루는 세포액 하나하나의 농도가 짙은데요, 따라서 일반적인 나무와는 다르게 추운 날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어 푸른 잎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수명을 다한 나뭇잎이 조금씩 나뉘어 떨어지기 때문에 항상 푸른 잎을 유지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소나무의 잎에는 엽록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햇빛을 잘 흡수하고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소나무는 잎의 생명 주기가 길어, 잎이 오래 살아남아 푸른색을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잎이 작고 얇은 표면적을 가지므로 수분 증발이 줄어듭니다. 이는 겨울철이나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에 유리합니다.

    소나무의 잎은 클로로필을 포함하고 있어 햇빛을 받아들이고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클로로필은 푸른색을 띄기 때문에 소나무는 사시사철 푸른색을 유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