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깡총깡총뛰고싶은거북이365
깡총깡총뛰고싶은거북이36523.04.27

항히스타민제를 먹으면 왜 졸음이 심한가요?

나이
45
성별
여성

비염이 너무너무 심해서 봄만 되면 너무 괴롭습니다.코가 막히고 콧물 가래도 심해서 약을 달고 사는데요. 항히스타민제를 먹으면 일상생활이 힘들정도로 졸음이 밀려오는데 다른약보다 항히스타민제가 졸음이 심한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점액분비나 가려움 같은 알러지 증상의 완화 뿐 아니라, 중추신경에서 졸음을 유발하는 작용도 합니다.

    뇌로 가는 혈관에는 투과막이 있어서 특정한 물질 외에는 투과할 수 없으나, 일부 항히스타민은 뇌혈관장벽을 투과합니다.

    이러한 졸음의 부작용을 이용하여 수면유도제로 사용하는 항히스타민제도 있고,

    뇌혈관장벽을 투과하지 않는 성분의 항히스타민제를 부작용이 적은 알러지약으로 쓰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의 부작용중의 하나가 졸음입니다,

    현재는 3세대 항히스타민제가 졸음을 줄여주는제품이 나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시에 히스타민 수용체가 억제되는데 히스타민수용체는 뇌의 각성에 영향을 미치기에 약물로 인해 졸음 및 집중력 저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일부 항히스타민제는 뇌혈관장벽을 잘 통과해 뇌를 각성시키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해 졸음을 유발하는 작용이 강합니다. 그래서 뇌혈관장벽 투과성이 낮은 성분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 성분의 경우에는 뇌혈관관문이라 불리는 부위를 통과할 수 잇어 졸음을 유발할수잇습니다


  • 안녕하세요.

    항히스타민제가 졸린 이유에 대해 여쭤 보셨는데요. 항히스타민제는 진정작용이 있어 졸릴 수 있습니다.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cetirizine이 그 성분 중에 하나이겠습니다. 졸음이 너무 심하셔서 일상 생활이 불편 할 수 있습니다. 그럴경우에는 fexofenadine 성분의 항히스타민제를 드셔 보신길 바랍니다. 상대적으로 덜 졸린 항히스타민제이므로 졸음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림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의 대표적 부작용이 진정 작용인데요. 세대가 낮은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뇌-혈관 장벽을 통과할 수 있어 뇌의 각성에 영향을 줘 졸립거나 주의력 저하를 유발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 중에서도 1세대는 대체로 졸리고 2세대의 경우에도 간혹 졸리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뇌혈관장벽을 잘 통과해서 졸립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가 중추신경계를 넘어가면 졸릴 수 있어요.

    약국이나 병원에 가실때마다 졸리지않은 약으로 달라고하시면돼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뇌혈관장벽을 통과하여 중추신경계까지 작용하게되면 졸음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보통 1세대 항히스타민제가 그런 경우가 많고 2세대부터는 덜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