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궁금돌이
궁금돌이

AI 기술을 이용하여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프로젝트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AI 기술을 이용하여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합니다.

AI 기술을 이용하여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프로젝트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 곳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꽤 많은 기관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좀 유명한 것들로만 추려본다해도 구글 AI에서 2020년 개발하여 발표한 AlphaFold가 있고, 워싱턴 대학교 연구팀에서 개발한 RosettaFold, 딥마인드에서 AlphaFold와 유사한 방식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Gato가 있죠.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생명공학연구원(KIBRI)에서 선보인 KAI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제가 알기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가장 유명하고 많이 사용되는 프로젝트는 알파폴드2(AlphaFold2)입니다.

    알파폴드는 구글의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AI 시스템인데, 이 프로젝트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입력하면 해당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꽤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젝트들은 신약 개발이나 질병 연구, 새로운 단백질의 기능 이해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DeepMind AlphaFold"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약물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계속 발전하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많은 기대를 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성과를 이뤄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AI를 이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젝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DeepMind의 AlphaFold입니다. AlphaFold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생물학 분야에 혁명적인 발전을 가져왔으며, 신약 개발이나 질병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AI 기술을 이용해 단백질 구조를 예층하는 프로젝트는

    구글 딥마인드에서 '알파폴드' 라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

    백민경 교수 주도로 개발된 로제타폴드가 있습니다.

    각 프로그램은 새로운 버전으로 계속 개발되고 있습니다.

    구글에서는 알파폴드1의 개발을 시작으로 알파폴드2, 알파폴드 멀티머를 이어 현재는 알파폴드3를 출시했습니다.

    백민경 교수 주도로 개발된 로제타폴드는 최근 '로제타폴드 올 아톰' 이라는 최신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이 빠르게 늘어나는 가운데, 최근 빅테크 기업들이 단백질 구조 예측 AI를 잇달아 선보이고 있는데요 빅테크 기업 중 가장 먼저 단백질 생성 AI를 개발한 곳은 딥마인드입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자회사인 딥마인드는 2020년 단백질 모양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공개했는데요, 2021년 7월에는 36만 5,000개 이상의 단백질 3D 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 알파폴드를 출시했는데, 여기에는 인간이 가진 단백질 2만여 가지 중 98.5%가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