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결손금과 잉여금이란 단어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결손금과 잉여금이란 단어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회계 공부하는데 단어가 눈에 들어와서 문의 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이강하 경제전문가
    이강하 경제전문가
    대구광역시

    결손금은 회사가 일정 기간 동안 손익을 계산했을 때 수익보다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하여 손실이 난 금액을 말합니다.

    벌어들인 돈보다 지출한 돈이 더 많아서 적자가 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가 1억 원의 수익을 냈지만 1억 5천만 원의 비용이 들었다면 5천만 원이 결손금이 됩니다.

    잉여금은 반대로 회사가 일정 기간 동안 손익을 계산했을 때 수익이 비용보다 많아서 이익이 발생한 금액을 말합니다.

    즉, 벌어들인 돈이 지출한 돈보다 많아 이익이 남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억 원의 수익을 냈고 비용이 7천만 원이었다면 3천만 원이 잉여금이 됩니다.

    결손금은 적자, 잉여금은 흑자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결손금은 회사가 손실을 본 금액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회사가 벌어들인 돈보다 더 많이 썼을 때 생기는 금액입니다. 반대로 잉여금은 회사가 남긴 이익을 뜻하며 수익이 비용보다 많을 때 남는 금액입니다. 결손금은 손해를 나타내고 잉여금은 이익을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결손금은 기업의 경영활동결과 순자산(純資産)이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에 그 감소분을 누적하여 기록한 금액을 말하며, 기업회계상 자기자본(순자산액) 중 자본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잉여금이라한다.

  • 결손금은 기업의 손익계산서에서 발생한 손실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는 총수익이 총비용보다 적은 경우 발생합니다.

    결손금은 기업의 재무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누적될 경우 기업의 자본이 줄어들거나 심각한 재무위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잉여금은 기업이 수익을 창출한 후 남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수익이 비용보다 클 때 발생하죠 잉여금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자금은 기업의 성장, 연구개발, 부채 상환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결손금은 결산일에 있어서 기초 자본재고금액에 대하여

    기말 자본재고금액이 감소된 경우의 자본감소액을 말하며

    잉여금은 기업회계상 자기자본(순자산액) 중 자본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결손금과 잉여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결손금이란 기업의 경영활동 결과 순자산이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 그 감소폭을 결손금이라고 하고

    잉여금이란 기업회계상 회사의 순자산액이 법정자본액을 초과하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결손금이란 기업의 경영활동 결과, 순자산이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에 그 감소분을 누적하여 기록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소유주의 입장에서 자본의 감소액으로 적자라고도 합니다.

    잉여금이란 기업회계상 일정시점에 있어서의 

    자기자본(순자산액)을

     초과하는 초과액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결손금은 소득금액 보다 필요경비가 많으면 적자를 본는데 이 금액을 결손금이라고 합니다. 사업소득 결손금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을 그만큼 낮출 수 있는데 이렇게 결손금을 활용해 과세표준을 줄이는 것을 결손금 공제라고 합니다.

    잉여금은 기업회계상 자기자본(순자산액) 중 자본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