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동양에서는 왜 검보다 도가 발달되어서 많이 쓰인건가요?

흔히 칼하면 생각나는게 검과 도가 있습니다.

그리고 서양에서는 도 보단 검이 많이 쓰이고 실제로도 검이 많이 보이는데요. 그런데 동양에서는 상대적으로 검보다는 도가 발달되고 많이 쓰엿던것 같은데요.

그 이유가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럽의 경우는 고대같은 경우 그 주력군은 중장보병단이었습니다. 전투 형태가 기동력보다는 파괴력을 우선시 했습니다. 반면에 동양같은 경우에는 투사병기가 엄청나게 발달했고 기동력있는 경무장을 한 기병의 역할이 상당했습니다. 이것은 전투에서 기동력을 중요시 할수밖에 없게 만들었기때문에 검보다 도가 발달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검과 도는 둘 다 칼이지만, 검은 양쪽에 날이 있어서 찌르고 베고 꿰뚫는 기능을 하며, 주로 전투용 무기입니다. 반면에 도는 칼날이 한쪽에만 있어서 배기에 적합하며, 생활용구로도 사용되는데, 검과 도의 구조적 차이는 검은 양쪽에 날이 있고, 도는 한쪽에만 날이 나있는 것입니다.

      검은 무겁고 다루기 어려워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웠으나, 검은 날카롭고 강력한 무기로, 무겁고 다루기 어려워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하기에는 어려웠습니다. 반면 도는 가볍고 다루기 쉬워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도라는 무기가 동양의 문화와 철학에 잘 맞았습니다. 도는 동양의 문화와 철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