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신중한잠자리251
신중한잠자리25122.11.05

인플레이션 잡는 방법은 금리인상 이 방법밖에 없나요? 또한 언제까지 미국은 금리인상을 할까요?

미국의 계속되는 금리인상으로 우리나라도 계속적인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있는데 인플레이션 잡는 방법은 금리인상 방법밖에 없는지 또한 미국은 언제까지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의 핵심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핵심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를 조절하는 방법에는 지금 하고 있는 금리인상과 또 다른 방법은 국가의 대규모의 국채발행이 있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국채발행으로 인한 국가 부채수준은 위험수준으로 2018년도 19조달러 규모의 국채발행 잔액이 남아있었지만 2022년도 현재 기준으로는 31조달러 규모의 국채발행 잔액이 남아있어서 4년사이 거의 미국의 부채규모가 2배 가까이 늘어난 상황입니다.

    게다가 이 국채를 발행하여 지난 코로나시기에 국민들에게 돈을 무작위로 지원을 하다보니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가 크게 증가하여 인플레이션이 크게 상승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지금 이런 재정적자를 해결한다는 명분으로 IRA법을 시행하고 있으니 미국의 재정상태가 굉장히 좋지 않다는 것을 알수 있어, 국채 발행을 통한 통화량 감소는 할 수 없는 정책인 것이란 걸 알 수있습니다.

    그렇기에 지금 미국이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카드이며, 현재로서는 내년 상반기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으며 미국의 최종금리 수준은 5.25%~5.75% 까지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을 잡는 방법으로 금리인상 말고도 정부는 재정지출을 줄여 총수요를 직접적으로 줄이거나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하여 물가상승폭을 줄일 수 있습ㄴ다. 또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을 잡는 방법은 금리인상외 시장의 공급부족에 대한 대응을 하는 것이 방법이나, 공급의 경우 일시적으로 단기간에 급격히 늘릴 수 없기때문에 기본적으로 금리인상을 통해 유효수요를 줄일려는 정책을 우선적으로 진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를 잡기 위하여 중앙은행이 할 수 있는 방법은 금리인상밖에 없습니다.

    정부 차원이라면 물품의 공급을 늘리거나 수요를 억제하는 방식도 고려해볼 수 있겠지요.

    현재는 러,우전쟁 및 중국 코로나 봉쇄 등으로 공급부족이 인플레이션의 주요원인이기 때문에 금리인상만으로 쉽게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을 듯 합니다.

    현재 시장의 컨센서스는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상 및 약 5% 전후를 최종금리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실제 인플레이션 등에 따라 상황이 바뀔수있기에 참고의 목적으로만 알아두시면 좋을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정부가 할 수 있는일도 있지만 연준에서 할 수 있는 일은 금리 조정을 통한 물가 안정화 방법이 대표적입니다.

    • 현재 미국이 금리를 통해 물가를 잡으려고 하는 이유는 코로나 시기에 과다하게 풀었던 달러 때문에 물가가 상승했다고

      판단하여 이제는 역으로 돈을 회수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 통상적으로 금리 인상에 대한 효과는 천천히 발현되니 내년 초까지는 물가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