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치과

뽀로로
뽀로로

입을 벌리고 자면 턱관절이나 얼굴형이 달라지나요?

감기나 기타 이유로 코가 막힐 때 입벌리고 잘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면 턱관절이나 구강건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내마음가는대로룰루랄라니나노
    내마음가는대로룰루랄라니나노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

    입으로 숨쉬게 되면 일단 입안이 건조해져서 구취가 많이 나고 충치가 잘 생깁니다. 어릴때부터 입으로 숨 쉬는 것이 버릇이 되면 지속적으로 혀와 입술, 근육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게 되어 치아배열은 물론 턱성장도 불균형하게 이루어집니다. 치과적인 이유가 아니라도 숨은 코로 쉬셔야 공기중의 먼지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을 어느정도 걸러줄 수 있는데 입으로 숨쉬면 더러운 공기가 직접 호흡기로 유입되기 때문에 그로 인한 질환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성인이 된 이후에는 입을 벌리고 잔다고 턱관절이나 얼굴형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잘 때 입을 약간 벌리는 것은 근육 입장에서는 정상적인 위치이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성장기에서 입을 벌리고 자거나 구 호흡을 하게 되면 구강 내 골격 구조와 더불어 안면부 모양도 바뀔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구호흡의 원인은 코질환, 부정교합 등이 있습니다.

    구호흡은 치은염, 치주염, 치아우식증, 구취, 면역력저하를 유발할수 있습니다.

    안면비대칭, 턱관절 장애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입을 벌리고 자면 구강이 건조해져 충치가 생기기 쉽습니다. 얼굴형 또한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