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유능한스라소니93
유능한스라소니93

백제의 22담로에 대해 궁금합니다

큐슈남쪽의 미야자키는 기원전 가야계가 기원후 4~8세기 백제계가 진출한 증거가 있는곳이라는데 그래서인지 사학계에서는 큐슈를 백제의 22담로중 하나로 꼽는다 합니다

이 22담로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궁금하며 큐슈가 백제의 행정권이 실제 닿았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꾀꼬리
      꾀꼬리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제의 "담로"란 백제가 지방에 설치한 행정 단위인데 백제 전역에 22담로가 있었다고 합니다.담로는 성을 지칭하는 백제의 한자어입니다.또한 큐슈도 백제의 담로가운데 들어간 자료가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22담로는 백제 말기인 무령왕 때 설치한 지방행정조직의 일종인데, 이를 실제로 일본의 큐슈에 설치해서 영향력이 미쳤었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합니다. 즉, 지금 시점에서 당연히 일본 사학계는 부정할 것이고, 한국 사학계는 어느정도 가능성이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명백한 문헌 등이 나오지 않는다면 정확하게 알 수가 없는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백제의 담로는 백제말 다라, 드르의 음차어로서 성을 의미합니다. 담로에는 백제 왕족의 자제를 보냈다는 기록을 통해 볼 때 지방행정구역의 중심지로 볼 수 있습니다. 일원적 통치조직이 정비되었다는 뜻인데, 봉건 영지로 보는 학설도 있습니다. 대략 설치시기는 근초고왕대로 보입니다. 근초고왕대 요서, 산둥반도, 규슈에 거점을 두고 진출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교류의 거점이지 그 지방을 직접 지배산 것으로는 보지 않으므로, 규슈에 행정관을 파견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2담로 : 백제 지방에 설치했던 행정 단위

      담로는 성을 의미하는 백제어 '다라' 혹은 '드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라 여겨지므로 지방을 통치하기 위한 거점으로서의 성과 그 통치 범위에 해당하는 지역을 모두 의미 합니다.

      담로는 중국 역사서 양서에는 백제가 22담로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는 웅진을 도읍으로 두었던 시기, 곧 영토가 많이 축소된 시점의 기록 입니다. 백제의 영토가 넓었을 때는 전국에 50여 군데 이상의 담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 됩니다. 담로가 처음 설치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대체로 근초고왕 대를 전후한 시기에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 시기로부터 지방에 대한 통치가 강화되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담로는 성왕 대에 5방제가 시행 되면서 그 명칭이 사라졌습니다.

      큐슈는 고대 백제의 담로가 다스린 것으로 알려진 곳입니다. 일본 쓰시마도 담아도 - 다마도 - 대마도로 바뀐 백제 담로국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제의 22담로는 백제가 중앙 집권화 되며 지방에 대한 통치권을 강화하기 위해 왕족 등을 파견하여 다스리게 한 제도입니다. 처음 설치된 시기는 정확하지 않지만 대체로 근초고왕 때로 추정되는데 그 이유는 백제의 중앙 집권화가 이뤄진 시기가 바로 그때이기 때문입니다.

      큐슈가 백제와 거리가 있기 때문에 직접 통치하지는 않은 것으로 봅니다. 다만 지금까지 확인되는 자료와 유물들로 일본이 백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죠. 대표적으로 근초고왕이 왜왕에게 하사한 칠지도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