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충격(감전)의 위험성과 예방 대책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감전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무엇이며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기 설비 및 개인이 준수해야 할 안전 대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감전의 주요 원인은 전기 설비의 노후화, 절연 손상, 잘못된 배선, 그리고 인체의 전기 접촉입니다.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몇 가지 안전 대책이 중요합니다. 전기 설비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하여 이상이 있는 부분은 즉시 수리해야 하며, 적절한 절연 장비를 사용하고 접지 시스템을 철저히 구성하는 것도 필수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작업 전전압을 반드시 차단하고 절연 고무장갑, 안전화를 착용해 전기와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안전 교육 또한 전문성을 키우고 사고를 예방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감전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절연상태가 아닌상태로 전기가 몸에 도통되는거죠. 다시말해 맨손으로 전기가 몸에 흘러 감전죄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감전은 누전, 절연 손상, 잘못된 접지, 전기 기기의 부적절한 사용 및 고압선 접촉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기 설비에서는 접지 및 누전 차단기를 설치하고, 개인은 절연 장비 사용, 전기 작업 전 전원 차단, 안전 거리 유지 등의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감전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선 및 기기 노출 절연이 손상된 전선, 헐거운 전기 연결부, 노후되 전기 기기 사용
습기 및 물기 접촉 - 젖으 손으로 전기 기기를 조작하거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작업
접지 불량 - 전기 설비의 접지가 제대로 되지 않아 누전 발생
과부하 및 단락 - 전기 용량을 초과하는 기기 사용 또는 내부 회로 단락
잘못된 차단기 및 보호장치 사용 - 누전차단기 미설치, 고장난 차단기 방치 등
이러한 감전사고를 예방을 위해서는 전기 설비 관리 및 점검을 철저히 하고, 습기 및 물로부터 멀리 하여야 하며, 안전한 전기 사용을 위한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감전 사고는 순간적으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점검과 안전한 사용 습관이 필수적 입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감전의 주요원인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노후화, 충격 및 화학반응 등으로 도전부 노출, 정전기 축적, 고온과 습도 등의 환경적요인, 유지보수부실, 접지결함, 누전차단기를 미설치 및 오작동 시 감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작업자가 전기차단을 하지 않고 작업하거나 작업모,절연장갑, 안전화, 절연공구 등 안전장비 미착용으로 인해 부주의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대책은 습기나 오염을 대응할 수 있도록 절연 수준을 확보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이상시 즉시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합니다. 또한, 작업 시 안전작업 절차를 숙지할 수 있도록 안전교육이 실시하고 절연장갑, 작업모, 안전화 등 개인 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습관화와 관리감독이 필요합니다.
현장의 경우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접지매트 및 정전기 방지 스트랩 등을 활용하면 정전기를 방지하여 감전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기는 산업, 개인, 공공 등 다양한 곳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자의 안전수칙 준수와 교육이 꼭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