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꼭 MSCI 지수에 편입이 되어야 하는 것인가요?
우리나라가 MSCI 지수에 편입되지 않았다는 뉴스가 있었는데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 공매도가 원인이었다는 말도 있구요.
그런데 여기서 궁금해지는게 우리나라가 꼭 MSCI지수에 편입이 되어야만 하는 걸까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MSCI 선진국 지수에 지속적으로 포함되려고 노력하는 이유는 MSCI가 워낙 큰자금을 운용하는 기업인데
여기서 이 선진국 지수에 한국이 포함되면 추가적으로 한국 주식을 매수하려는 수급이 몰릴 것이기에
한층 더 밸류업된 주식시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식은 외국인 자본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MSCI선진국 지수에 포함되면 MSCI 뿐만 아니라
다른 외국자본도 MSCI를 참고하고 들어얼 수 있는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지수는 미국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사가 편성하고 발표하는 세계적인 주가지수로, 글로벌 펀드가 투자의 기준으로 삼는 주요 지표이자 최초의 국제적인 벤치마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MSCI 선진국 지수에 포함되는 것은 글로벌 기관 투자자들이 투자 자금의 규모를 결정하는 데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국가의 자본 유입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MSCI 지수에 포함된다고 해서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MSCI 지수에 포함되면 외국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이 증가할 수 있지만, 동시에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MSCI 지수 편입을 위한 규제 완화나 제도 개선이 국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가 MSCI 지수에 포함되어야 할 지 여부는 장단점을 면밀히 고려하고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외 투자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MSCI 지수에 포함되는 것은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과 투자 유치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단순히 이점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신중한 접근과 적극적인 준비가 필요한 결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MSCI 선진 지수에 편입되면 그만큼 투자자금 유입이 더 많아지게 되므로 분명히 좋은 건 맞습니다. 단, 공매도 제도 자체가 제대로 정립이 안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먼저 정비해서 완비를 한 후 MSCI 선진지수 편입을 노리는 게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우리나라 주식 시장의 행태를 보면 당연히 편입되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 합니다. 선진국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주주환원율과 낙후된 주식 금융시스템 그리고 말씀 하신 바와 같이 공매도 금지에 대한 이슈등이 크게 작용 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MSCI지수의 경우 "모건스탠리 인터내셔널"의 약자로서 현재 MSCI 지수는 세계 주식 시장의 성과를 측정하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수 입니다.
그러하기에 MSCI지수에 편입이 되면 실제로 MSCI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와 같은 대규모의 기관 자금이 들어 올 수 있을 뿐 아니라, 세계 각 지의 자금이 편입 되는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편입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MSCI 지수에 편입된다면 우리나라 증시에 많은 자금 유입과 더불어서 해외에서의 평가도 올라가기에 장기적으로는 이에 편입되어야 할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글로벌 자금 가운데 선진 지수를 추종하는 규모가 신흥국 지수를 추종하는 규모보다 6배 크기 때문에, 우리나라 역시 MSCI 선진국 지수에 포함된다면 제대로된 가치 평가 등을 인정받음에 따라 주가 상승 등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2009년에 FTSE 선진국 지수에 편입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MSCI에서만 '선진국' 지수에 포함되지 못하고 있는데요. 세계적으로 수많은 ETF들이 있는데, 이 ETF들은 지수를 추종합니다. 이를 패시브 투자라고도 합니다. 패시브 시장은 점점 커지는 추세인데요. 그에 따라 ETF를 추종하는 액티브 자금도 늘어나고 있죠. 그래서 ETF들이 추종하고 있는 지수들이 어떻게 바뀌느냐에 따라 액티브 자금들도 움직이게 됩니다. MSCI 선진국 지수에 포함되면 좋은 이유 첫 번째는 시장에 많은 돈이 유입되기 때문입니다. 왼쪽의 표는 MSCI 지수를 추종하는 자금 규모입니다. ACWI는 글로벌 전체에 투자하는 자금으로 가장 규모가 크며, EAFE는 선진국에서 미국 및 캐나다를 제외한 나라를 추종, EM이 우리나라와 같은 개발도상국들을 추종하는 자금입니다. 생각보다 EAFE와 EM의 차이가 적어서 선진국지수에 편입돼도 별다를 것 없다고 보일 수도 있는데요. 우리는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합니다. 현재 신흥국지수 내 비중은 중국이 32%로 가장 많고, 한국은 13% 수준입니다. 하지만, 신흥 시장에서 중국의 비중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MSCI가 중국을 지수에 편입한 이후, 점차적으로 중국의 비중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아직은 중국의 비중이 32%에 불과하지만 중국시장을 100% 포함하게 되면 44%로 늘어나고, 외국인의 지분 제한까지 해제한다면 6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의 비중이 커지면 당연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른 나라들의 비중이 줄어들 수밖에 없겠죠. 따라서 신흥국 시장에 몰리는 자금이 많다고 해서 안심할 게 아니라 향후 점점 우리나라의 비중이 작아질 것이라는 걱정을 해야 합니다.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어야 하는 첫 번째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꼭 MSCI 지수에 편입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MSCI 지수에 들어가면 외국인들이 우리나라 주식을 더 많이 살 수 있어서 좋지만, 우리나라 경제가 튼튼하고 좋은 회사들이 많아서 꼭 필요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중요한 건 우리나라 회사들이 계속 발전하고 많은 사람들이 믿고 투자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MSCI 지수 편입은 우리나라 경제와 금융 시장에 많은 이점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반드시 꼭 필요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제적 목표와 전략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편입의 장점과 단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장의 안정성과 성장 잠재력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MSCI 선진지수에 편입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MSCI 선신지수에 편입된다면 한국 증시의 수준이 레벨업 되어서 여러모로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