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여전히인상적인아카시아나무
여전히인상적인아카시아나무

삼두쪽에 박은 상완골 철심 제거 후 팔 접으려고 해도 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19

삼두쪽 상완골 철심 제거 수술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지금 팔이 잘 접히지 않는 상태인데 팔을 접기 위해 좀 다른 팔로 누르면서 재활해도 되나요? 뼈에 무리가 가고 그러지는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삼두쪽에 상완골에 철심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으셨고 지금 팔이 잘 접히지 않는 상태인데 팔을 접기 위해 다른 팔로 누르면서 재활을 하는 것은 어느정도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는 크게 무리가 가지 않으며 너무 강하지 않은 강도로 점진적으로 강도를 올려가면서 늘려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철심 제거 후 초기에는 조직 유착이나 통증 때문에 팔이 잘 안접힐 수 있고 무리한 강제 움직임은 오히려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재활은 주치의가 권한 시점부터 통증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진행해야 하고 반대 팔로 누르는 것은 반드시 의사의 확인후. 시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철심제거후 팔이잘접히지않는건 유착이나 근력저하의 문제일수있는데요 다른팔로 강하게누르면서 강제로 가동범위를 늘리는건 뼈나 연부조직에 무리를 줄수있기때문에 조심하는게 좋습니다

    재활은 병원에서 물리치료를받으며 점진적으로 각도를 늘리는것이 좋은데요 사람마다 상태가다르기때문에 병원에서 본인의상태를 체크하고 전문의와 치료계획을 세워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철심 제거 수술 후 관절 운동범위의 제한은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철심 제거 후에는 점진적인 관절 가동범위 회복을 위한 재활이 권장되지만, 과도한 힘을 주어 강제로 관절을 구부리는 것은 주의해야 합니다. 수술 부위의 연부조직과 근육이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움직임은 염증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뼈 자체보다는 주변 조직의 손상 위험이 더 클 수 있습니다. 재활 과정에서는 정형외과 의사나 물리치료사의 지도 하에 적절한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자가 재활을 하실 경우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천천히 진행하시고, 다른 팔로 도움을 주실 때도 갑작스럽거나 강한 힘보다는 부드럽고 지속적인 스트레칭 형태로 접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불편함이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재활 프로그램을 처방받으시길 권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과도한 움직임을 가하시는 것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철심 제거 이후에는 점진적으로 관절의 움직임을 회복하시는 것이 좋은데요, 강한 힘으로 무리하는 경우 부상이나 재발의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초기에는 가급적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삼두 쪽에 철심을 제거한 후 팔을 접는 데 어려움을 겪고 계신 것 같아요. 수술 후 초기에는 부기가 있거나 주변 조직이 뻣뻣해져 있을 수 있어요. 이런 상태에서는 무리하게 다른 팔로 누르면서 팔을 억지로 구부리려고 하면 오히려 뼈와 연조직에 무리가 갈 수 있어요. 너무 서두르지 말고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일반적으로 철심을 제거한 후에는 병원에서 제공하는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따르시는 것이 좋고, 물리치료를 통해 점진적으로 팔의 움직임 범위를 늘려가는 것이 바람직해요. 가볍게 움직이는 동작부터 시작해서 점차 강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좋을 것 같아요. 하지만 통증이 심하거나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 전문의와 상담해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충분한 시간을 두고 회복할 수 있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상완골에 철심을 제거한 후 팔을 접기 위해 무리하게 재활을 시도하는 것은 조금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뼈와 주변 조직이 충분히 회복될 시간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움직임이나 무리한 재활은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요.

    팔을 누르거나, 과도한 압력을 가해서 재활을 진행하는 것은 뼈에 무리를 주거나, 철심이 제거된 부위에 추가적인 부상을 초래할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재활은 의사의 지시와 물리치료사의 지도 아래에서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팔을 접을 때 무리가 가지 않도록 천천히, 부드럽게 운동 범위를 확장해가는 방식으로 해야 하구요. 뼈가 제대로 붙었는지, 근육과 인대가 회복 중인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물리치료를 병행하면서 천천히 재활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따라서, 본인의 상태와 의사의 권장 사항을 잘 따르는 것이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