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도 모은 돈으로 쳐야하나요?
연금저축을 하잖아요. 근데 그건 당장 뺄수는 없는돈인데 그것도 모은 돈으로 치나요? 아니면 그건 빼고 모은돈 혹은 저축으로 쳐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자금도 나의 노후를 위한 자본이기 때문에 모은 돈으로 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연금저축은 55세 이후에 수령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국민연금을 받기 전까지
노후의 자금흐름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도 모은 돈에 해당하지만 굳이 세부적으로 구분할 때 유동성 없는 자산으로 구분됩니다.
총 자산에서 유동자산이랑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하며 둘다 모은 돈이지만 당장 꺼내 쓸 수 있느냐 없느냐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은 노후 대비 목적의 금융자산이라 모은돈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연금 수령 전까지 인출 제한이 있어 유동성은 낮은 편입니다. 당장 쓸수 있는 돈은 아니짐나 자산총액에는 포함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연금 저축도 모은 돈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당연히 연금 저축에 들어있는 돈도
질문해주신 분의 자산의 일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에 납입한 금액은 모은돈 혹은 저축으로 칩니다. 다만, 당장 자유롭게 인출할 수 없는 돈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다른 형태의 저축과는 구분해서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금저축 계좌에 있는 돈은 명백히 가입자 본인의 자산입니다. 연금저축의 목적 자체가 은퇴 후의 안정적인 삶을 위한 장기적인 저축입니다. 현재 사용하지 않고 미래를 위해 적립하고 있다는 점에서 저축의 본질과 부합합니다.
일반 예적금이나 CMA계좌의 돈은 필요할 때 언제든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연금저축은 연금 수령 조건을 충족해야만 인출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분명히 모은돈이자 저축입니다.다만, 은퇴 후를 위한 장기적인 목돈이며 당장 활용할 수 없는 유동성 제약이 있는 자산이라는 점을 명확히 인지하고 관리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당연히 질문자님의 자금을 모아서
해당 금액에 노후를 위하여 투자하기에
이에 따라서 모은 돈으로 치는 것이 맞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점의 차이인데요. 명확하게 하자면 연금저축도 저축이긴 합니다. 물론 좁은 의미의 저축은 바로 현금화가 가능한지를 따져볼 수 있겠죠.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은 장기 저축이라 당장 인출은 어렵고, 노후 대비용입니다.
총자산 계산엔 포함되지만, 단기 유동성 자산(당장 쓸 수 있는 돈)에는 포함되지 않게 됩니다.그래서 재무 계획할 땐 연금저축은 따로 분류해서 보는 게 일반적이에요.
즉, 모은 돈으로는 치지만, 당장 쓸 수 있는 돈으로는 안칩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은 본인 명의의 자산이기 때문에 전체 자산을 계산할 때는 모은 돈으로 포함돼요.
다만, 중도 인출 시 불이익이 있기 때문에 당장 쓸 수 있는 돈이나 비상금처럼 유동자산을 따질 때 제외하는 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