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M1 M2 M3 통화량에 포함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시중에 풀린 유동 자금을 볼 때 M1M2 M3 통화량을 보라고 합니다. 포함되는 종류가 조금씩 다를 것 같은데 포함되는 통화 종류가 어떻게 다른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M1, M2, M3는 유동성에 따라 구분돼요.

    M1 현금과 수시 입출금 계좌 같은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구요. M2는 M1에다 정기예금, 저축성 예금 등 약간 덜 유동적인 자산을 포함이구요.

    M3는 M2에다 은행 외 금융기관의 자산을 더한, 더 넓은 범위의 통화량을 의미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M1, M2, M3에 포함되는 것들에 대한 내용입니다.

    M1은 현금, 요구블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포함되고

    M2는 M1에 기간물 정기예금, 적금, 부금, 시장형금융상품, 실적배당형금융상품, 금융채, 기타 등을 더한 것이고

    M3는 M2에 큰 액수의 정기예금, 기관의 MMF, 단기환재가능 자산 및 기타의 대규모 유동자산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M1은 협의통화로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예금(투신사 MMF 포함)의 합계를 말하며

    M2는 광의통화로 M1과 만기 2년 미만 금융상품(예적금, 시장형 및 실적배당형, 금융채 등)의 합계를 말합니다.

    그리고 M3는 M2와 2년 이상 유동성 상품, 생보사 보험계약준비금 등을 합한 것과 같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중에 융통되는 통화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환금성이나 안정성 등에서 각 통화마다 차이가 있기에 통화량을 측정할 때 특정한 통화를 포함시키는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그 통화량 값이 달라집니다.

    M1, M2, M3은 통화의 기능, 금융•재정정책의 목표에 따라 통화량을 계산하는 대상 통화를 각기 다른 범위로 정의한 통화지표입니다.

    M1은 '협의통화'로 불리며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예금 등의 일반적인 지불수단이 포함됩니다.

    M2는 광의통화로 불리며, M1에 2년 미만 저축성 예금, 금전신탁, 발행어음, 수익증권 등을 포함한 것으로 통화량 측정시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입니다.

    M3(총유동성)은 과거에 사용했던 지표로 현재는 Lf라는 '금융기관 유동성'으로 정의됩니다. Lf에는 새마을금고나 지역농협 등의 제2금융권이 포함되며, M2에

    와 함께 금융채, 환매조건부 채권, 양도성 예금증서, 상업어음 등이 포함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M1: 가장 유동성이 높은 통화량으로, 현금(지폐와 동전)과 요구불 예금(은행에서 언제든지 인출할 수 있는 예금)을 포함합니다. 즉,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2. M2: M1에 더해 단기 저축 예금, 정기 예금(3개월 이하), 머니마켓 계좌 등을 포함합니다. M1보다 유동성이 낮지만 여전히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3. M3: M2에 더해 대규모 정기 예금, 기관 투자자들이 보유한 머니마켓 펀드, 기타 대규모 유동 자산을 포함합니다. M3는 가장 포괄적인 통화량 지표로,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포함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M1은 협의 통화, M2는 광의 통화, M3는 총유동성을 나타냅니다.

    M1은 민간이 보윻한 현금과 예금취급기관의 결제성예금의 합으로, 언제라도 현금화할 수 있는 은행 예금을 합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CMA, MMF, 수표 등을 포함합니다.

    M2는 광의통화로 협의통화 M1에 예금취급기관의 만기 2년 미만의 정기예금, CD, RP, 표지어음 등과 더불어 금융채, 발행어음 등을 포함합니다.

    M3는 광의통화 M2에 제 2금융권의 각종 예수금 등을 포함하는 가장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M1은 흔히 말하는 협의통화라고 불리웁니다. 가장 유동성이 높은 형태의 돈으로 현금과 요구불예금을 들수있습니다.

    M2는 광의의 통화로서 당장 현금으로 전환할 수는 없지만 비교적 빠르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M1은 당연히 포함되고 여기에 추가적으로 2년이하의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 단기 금융 상품인 MMF나 CD와 같은 양도성예금증서등이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M3는 M1+M2에 더해서 2년을 초과하는 저축성예금과 환매조건부채권이나 보험계약준비금, 증권예수금이 포함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M1 : 협의의 통화로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예금

    M2 : 광의의 통화로 M1에 정기예적금, 시장형 금융상품, 실적배당형 금융상품, 기타 예금 및 금융채

    M1은 화폐의 지급결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중시한 지표

    M2는 M1보다 넓은 의미의 통화로 유동성이 다소 떨어지지만 약간의 이자소득만 포기하면 현금화가 가능

    M3는 현금+은행 등 예금통화

  • M1은 가장 좁은 범위의 통화량을 의미합니다.

    M1은 즉시 사용 가능한 자금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현금(시중에서 유통되는 지폐와 동전)과 요구불 예금이 포함됩니다.

    요구불 예금이란 은행에 예치되어 있지만 언제든지 인출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을 말합니다.

    즉, M1은 즉각적으로 거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자산들을 포함하는 통화량입니다.

    M1은 경제 활동 중에서 바로 거래가 가능한 유동 자금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사람들이 일상적인 경제 활동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돈의 양을 보여줍니다.

    M2는 M1보다 더 넓은 범위의 통화량을 포함합니다.

    M1에 포함된 현금과 요구불 예금 외에도, 정기 예금, 저축성 예금, 머니마켓 예금 계좌 같은 자산들이 추가로 포함됩니다.

    정기 예금은 일정 기간 동안 예치해두는 자금으로 계약된 기간 동안 인출이 제한되지만 만기가 되면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예금입니다.

    저축성 예금은 이자가 붙으며, 즉시 인출할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상대적으로 빠르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M2는 바로 사용되지 않더라도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까지 포함하여 경제 내에서 유동성이 높은 자금들을 더 넓은 범위에서 측정합니다.

    M3는 M2에 포함된 자산들에 더해 더 넓은 범위의 금융 자산을 포함하는 통화량 지표입니다.

    M3는 양도성 예금증서와 같은 금융 상품, 그리고 금융기관이 발행한 다양한 금융 자산들을 포함합니다.

    이 자산들은 금융 시장에서 거래되며, 바로 현금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자산으로 보유되거나 투자되는 자금들입니다.

    M3는 가장 넓은 의미의 통화량을 측정하는 지표로 경제 전체의 유동 자산 규모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M1, M2, M3는 통화량을 측정하는 세 가지 기준으로, 각각 포함되는 자산의 종류가 다릅니다.

    • M1은 가장 유동성이 높은 통화를 의미하며, 현금(지폐와 동전)과 은행의 당좌예금(수시로 인출 가능한 계좌)이 포함됩니다.

    • M2는 M1에 더해 저축성 예금, 정기예금 등 즉시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을 포함합니다. M1에 비해 유동성이 낮지만 여전히 쉽게 접근 가능한 자산들입니다.

    • M3는 M2에 더해 금융기관의 대출, 기업 채권 등 더 큰 규모의 유동성 자산이 포함되어 가장 포괄적인 통화량을 측정하는 기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M1은 협의의 통화를 말하며 현금 및 예금 통화만

    포함됩니다.

    M2는 M1+저축성예금+거주자 외화예금입니다.

    M3는 M2와 모든 저축 수단을 합산한 합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M1, M2, M3 는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 즉 통화량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M1은 가장 좁은 개념의 통화량으로,

    현금, 요구불예금(은행에 예금한 돈 중 언제든지 인출할 수 있는 돈)이 있습니다.

    M2는 M1에 시간예금, MMF(머니마켓펀드) 등 단기 금융 상품을 포함 합니다.

    M3는 M2에 만기 2년 이내 정기예금, 할부금융, 금융회사 채권 등을 포함합니다.

    한마디로

    M1 - 현금, 요구불예금

    M2 - M1(현금, 요구불예금) + 시간예금, MMF 등

    M3 - M2(현금, 요구불예금, 시간예금, MMF) + 만기 2년 이내 정기예금 등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M1은 협의통화로 현금과 은행 당좌예금, 보통예금 등 요구불예금(수표)을 합친 것입니다.

    M2는 광의통화로 M1에 정기예·적금, 시장형 금융상품, 실적배당형 금융상품, 금융채, MMF, 수익증권, CD, RP 등 만기 2년 미만 금융상품을 더한 것입니다.

    M3는 협의유동성통화로 M2에 보험회사 등의 기타예금취급기관의 만기 2년 이상의 정기예·적금, 및 금융채, 예수금 등을 더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