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티비 다큐를 보고 놀란적있습니다
얼마전 티비 다큐를 보고 놀란적이 있습니다 서울
유명대학교 까지 나온학생들이 취업을포기 하고 집에서
놀고만 있다고 하는데 이게 정상적은 아닌것 같은데
왜 이런현상이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취업시장이 매우 악화되어 있기 때문에 대기업에 취직이 어려워지자 취업 포기자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모의 재력이 있을 경우, 용돈을 받으면서 살고자하는 피터팬증후군을 겪는 청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층의 구직포기 이유는 눈높이의 문제가 아니라 과거의 불안정한 일자리 경험이 반복되며 의욕 자체가 꺾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유명대학교를 졸업해도 취업 포기하고 집에 머무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 만큼 모두가 가고 싶어하는 직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런 포기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현상이며 이를 계기로 대학 진학 자체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마도 학교를 벗어난 경쟁 환경으로 가야하는 학생들이 제대로 준비를 못하거나 경쟁을 할 여력이 없는 경우 이러한 구직 포기 청년이 발생하게 되는데 사회 문제화 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조사한 바로는 이러한 구직 포기 청년이 120만 명에 달하고 청년(15~29세) 고용율이 44% 내외에 머물며 최근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저성장 국면에 빠진 한국 경제의 단면이라 판단됩니다.
정체된 경제로 인한 양질의 일자리 감소, 경력직 선호 현황
수시채용이 늘어나는 고용 시장의 구조 변화
경제적 불확실성과 사회적 기대에 대한 부담 증가
취업 지원 시스템의 한계
등으로 구직 포기 청년들이 늘어나는 안타까운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의 장기화는 국가 성장동력 약화와 인력난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는 소위 청년 '니트족' 증가와 함께 정신 건강 악화, 사회적 고립 및 우울증 부정적 파급 효과가 커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