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물가가 너무 낮으면 안좋은 이유 잇을까요?
물가는 높으면 높을수록 서민들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됩니다. 반대로 물가는 낮으면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세상에는 무조건 장점만 잇는것이없다고 하는데 물가가 엄청낮으면 안좋은점은 무엇이 잇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동산 집값이랑 비슷한거 같습니다
10억이던게 8억이 되고 7억이 되면 더 떨어지지않을까 하며
안사는 거죠
소비심리가 또한 위축되는 겁니다
소비를 안하면 중국집 편의점 망합니다 일자리 없어지고 공장도 줄줄이..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너무 낮고 오르지 않는다면
기업들의 매출도 오르지 않고 근로자의 임금도 오르지 않는 등
이에 따라서 경젲에 좋지 않은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낮아서 안좋다기 보다는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그만큼 경제가 성장하였음을 의미합니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낮다는 것은 좋지 못한 신호에 해당하며, 일본의 경우 경기 침체기 시기에 물가가 오르지 않는 기현상이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너무 낮으면 안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율이 낮다는 것인데, 이는 소비침체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이에요. 그럼 화폐 유동성이 낮은 시장은 일본과 같은 장기 저성장을 하는 경제 형태가 될 수 있기에 좋은 것만은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