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개월 남자아이입니다 한글 지금 가르쳐야할까요?
아직 한글에 관심이 없고 알려준다고 하면 안배우고싶다고 말하는데 그래도 기본은알려줘야할꺼같은데 지금 알려줘서 스스로 책도 읽고 하는게 더 좋은 교육이 될까요? 그리고 제가 가르치면 더 흥미가 떨어질것 같기도 하고 알려주게 되면 제가알려주는게 나을까요 구몬이나 패드수업같은걸로 흥미있게 배우는게 좋을까요?
42개월 아이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것이 맞는지/ 적당한 시기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한글 공부는 아이가 관심을 가질 때 시작하는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학습지와 같은 평면 자료를 이용해서 학습하면 아이가 싫증을 낼 수도 있으니 놀이 식으로 접근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번거롭겠지만 우선 집에 있는 사물 밑에 이름카드를 붙여줍니다.
그림과 글자가 함께 있는 카드로 놀이를 하고 그림-글자를 분리해서 찾기 놀이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꾸준하게 독서를 하는 것은 아이의 정서, 언어발달에 효과적입니다.
글자사냥이라고 해서 길을 다닐 때 눈에 보이는 간판, 현수막, 포스터의 글자를 읽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42개월 정도의 아이는 한글을 배우는 시기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아직 한글에 관심이 없다면 무리하게 가르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흥미를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나이대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배우는 것이 더 효과적이므로, 아이가 좋아하는 이야기를 듣거나 동화책을 함께 읽으며 한글에 대한 흥미를 키우는 것이 첫 번째 단계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한글을 강제로 가르치려고 하면 오히려 학습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수 있으니,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몬이나 패드 수업과 같은 프로그램은 아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부모가 직접 가르치는 것보다 더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아이가 자발적으로 학습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부모의 격려와 긍정적인 반응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한글보다 그림이 많은 책을 읽어주거나, 한글이 포함된 놀이 활동을 통해 아이가 자연스럽게 글자를 접하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흥미를 보이기 시작하면, 그때 조금씩 글자를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시기의 경우에는 아이의 성향과 능력에 따라서 해주시는게 좋다고 합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보통은 약 7세부터 한글을 가르쳐 준다고 합니다. 하지만 빠른 아이들의 경우에는 조금 더 일찍 시작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 아이들이 노출된 환경과 선천적으로 타고난것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는 부모님께서 아이를 잘 관찰하셔서 진행을 해주시는게 좋을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이 성장하는데 있어서 부모님의 관심은 필수라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한글에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관심이 없는데 억지로 주입한다면 학습의 효과가 있지도 않을 뿐더러 오히려 반감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글을 읽을 수 있더라도 글을 읽고 이해하는 문해력이 바로 생기는 것은 아니기에 평소에 책을 많이 읽어주시고 본인이 관심 있어 하는 분야의 책을 많이 접하게 해서 책에 대한 흥미를 높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책을 보면서 한 두 글자를 노출해보고 글자에 관심을 가질 때 쯤 체계적으로 가르쳐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보통 6~7세때 한글 자음,모음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놀이를 통해서 접근을 시켜주세요
낱말 카드, 자석 놀이로 자음 모음을 알려주고, 노래로도 배울 수 있습니다.
거부감이 있으면 구지 지금 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교육으로 다가가면 아이들은 보통은 거부감을 느끼고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큽니다. 대신 아이와 꾸준히 책읽기를 해보고 아이가 주로 생활하는 곳에 한글 표나 단어 표 등을 설치 해두고 오며가면서 자연스럽게 접하고 얘기해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매일 꾸준히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때는 문자를 자음 모음 나누지 않고 통문자로 먼저 익히는 경향이 있는데 글을 같이 보며 어떤 소리가 나는지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되므로 큰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