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1.18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 지구에는 수많은 동물들이 있는데 동물들 중에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이 수없이 많이 있잖아요 이렇게 동물들이 겨울에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주로 생존과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입니다. 겨울은 자원이 제한된 환경이며, 식량이 부족하고 기온이 추워져서 생존에 도전적인 시기입니다. 따라서 일부 동물들은 겨울 동안 활동을 줄이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겨울잠을 선택합니다.

    겨울잠은 동물들이 몸의 신진 대사를 늦추고 체온을 낮추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동물들은 겨울 동안 필요한 에너지를 아끼고, 식량을 찾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몇 가지 동물들은 완전한 겨울잠을 자지 않고, "휴면" 상태로 들어가기도 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일부 신진 대사가 유지되며, 필요한 경우 일시적으로 깨어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이 되면 상대적으로 먹잇감이 적음에 따라 활동량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일부 동물들은 겨울잠을 통해 긴 겨울을 이겨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겨울에는 먹이 사냥 활동이 힘들어서 움직이게 되면 손실이 많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봄이 올 때까지 움직이지 않기 위해서 잠을 잡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겨울 잠을 자는 동물들은 항온동물입니다. 항온동물은 체온을 일정 온도로 꾸준하게 유지하는 동물들을 말합니다. 이런동물들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음식을 섭취해서 에너지를 사용해서 온도를 유지해야합니다. 하지만 겨울과 같이 먹이가 부족한경우 음식 섭취가 쉽지 않아서 체온을 유지하기 어려기 떄문에 겨울이 오기전에 미리 음식을 섭취하여 비축하고 따뜻한 곳에서 겨울잠을 자면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온도가 내려갈뿐만 아니라 먹이도 줄어들기 때문에 동물들에게 생존에 매우 불리한 환경입니다 이런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 몸의 기초대사량을 낮춰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겨울잠을 자게 됩니다 겨울잠을 자는 것은 생존을 위한 동물의 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먹이 부족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추위 때문입니다. 먹이 부족이 겨울잠의 가장 큰 이유입니다. 겨울에는 먹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먹이를 찾아 돌아다니는 것보다, 겨울잠을 자면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추위도 겨울잠의 이유 중 하나입니다.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져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겨울잠을 자면, 체온을 낮추고,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은 춥고 먹이를 구하기 힘든 겨울철을 살아남기 위해 땅 속이나 나무 밑에서 잠을 잔다.


    겨울잠은 추위와 먹이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동물의 환경적응 방법이다.


    육생의 변온동물과 일부 정온동물에서 볼 수 있다.


    온도 변화가 작은 물밑이나 땅속에서 월동하며, 체온은 주위 온도와 거의 같아지고 물질 대사는 저하된다.


    (개구리 ·뱀 ·도마뱀 ·거북 등의 양서류나)


    거의 가사상태로 월동하며 체온은 기온과 더불어 내려가나 어느 일정 온도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다.


    (긴가락박쥐는 5℃, 동면쥐는 0℃)<포유류인 박쥐 ·고슴도치 · 햄스터 ·동면쥐 등>


    동면하는데 체온 ·대사는 그다지 저하되지 않고 때때로 잠을 깨서 먹이를 먹는다.


    (다람쥐 ·날다람쥐 ·너구리 ·오소리 등)


    나무나 바위로 된 자연 구덩이에서 동면하는데 체온이나 대사는 거의 저하되지 않고 얕은 수면상태로 가을에 저장한 지방을 소모하며, 암컷은 동면중에 새끼를 낳아 봄까지 먹지 않고 포유한다.(곰)


    바위 틈에서 가사상태로 월동하는 미국의 쏙독새류로 체온은 18℃(정상은 41℃)로 내려간다.(조류)


    잉어 ·붕어 등의 어류는 물 밑 또는 진흙탕 속에서 비활동적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내는데 수온이 올라가면 먹이를 먹는다.


    이 밖에 대부분의 절지동물은 휴면이라는 특수한 생리적 상태에서 겨울잠을 잔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온동물은 체온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음식물 섭취를 통해 얻는데요. 하지만 겨울에는 평소보다 먹이가 부족해 체온 유지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겨울을 나기 위해 음식물을 미리 섭취해 에너지를 비축하고, 이후 따뜻한 곳을 찾아 저장한 에너지를 소비하며 겨울잠을 잡니다.

    하지만 개구리와 뱀과 같은 변온동물은 외부온도가 떨어지면 체온도 같이 떨어져 생활이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날씨가 추워지면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땅속으로 모두 들어가 겨울잠을 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