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 5년차 남편, 신혼 아내와 미래 계획 어떻게 세우는게 좋을까요
저는 직장생활 5년차 아내는 이직준비중입니다. 신혼 초기라 미래계획이 아직은 뚜렷하지 않은데 결혼 초기에 부부가 함께 미래 계획을 세우려고 하는데 어떻게 세우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신혼 초기에는 우선 재정상태를 공유하고, 돈에 대한 가치관과 소비습관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재정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직장생활 5년차면 지금 계획을 세워도 늦은감이 있습니다.
보통은 결혼하면서 계획을 세우곤 합니다.
계획은 현재 보다는 노후대비 위주로 세우는게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직장생활 5년차이며, 아이가 잇는지 없는지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아이가 있다면 아이의 교육에 맞는 지역으로 이사를 하면서 아이를 중심으로 생활을 하면 되고, 아이가 없고, 또는 아이업는 새ㅐㅇㅎㅇ활을 꿈꾸신다면 큰 무리없이 여행을 다니면서 욜로를 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다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아이가없다면 그 생활이 편하긴하지만 조금은 적적해진다고 하더라구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좋은 계획입니다.공통된가치관으로 비전을 정하고 5년 10년후에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길 바랍니다.우선 두분이 가장서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재정계획을 통해 현실적이고 구체작인 계획을 마련하고 고정지출과 비상지출금 또 미래를 위한 투자자금을 잘 분배해 나가고 계획하에 삶을 살아가면 더욱 윤택한 미래가 다가서지않을까 합니다. 화이팅하세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돈을 모으기 위해 공동 모임통장 같은 수단으로 함께 자산을 모으는 방법이 있습니다.
공동명의 퉁장을 만들어 서로의 수입을 함께 관리하며 생활비나 용돈 등 지출에 필요한 부분을 함께 리스트업하고 합리적으로 사용할 필요도 있다고 봅니다.
각각 서로의 수입, 지출을 모르는 상태에서 진행하시게 되면 분명 분쟁이 발생할 수 있어 함께 모으면 심리적으로도 돈을 아낄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를 가지느냐 아니면 딩크족으로 살아가냐 입니다.
그것에 따라서 계획이 달라지는데요.
아이계획을 먼저 확실하게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경제권을 합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둘이 모으면 금방모은다는 얘기가 있죠?
아이계획, 경제권 순으로 계획을 세우면 좋으실 것 같으세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곧 질문자님이 이직을 하실 예정이니 맞벌이라고 가정하고 아래 사항에 대한 계획이 필요할 듯합니다.
출산 계획 > 1명 또는 2명 이상
출산 후 육아 및 교육 계획 >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어디서 육아를 하고 교육을 시킬 것인지 여부
주택 마련 계획 > 아직 무주택이시면 주택 마련이 가장 최우선이 되어야 합니다.
노후 계획 > 신혼 초부터 노후 계획이 매우 이르다 생각할 수 있으나 노후 계획은 특히, 결혼 직후부터 시작해야 실질적인 계획이 섭니다. 시간이 매우 빨리 지나갑니다.
건강 관리
양가 부모님과의 관계설정 > 명절이나 생신 때 방문 여부와 용돈 등 규모 미리 합의(의외로 불협화음이 많이 발생합니다.)
이상 참고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래계획이라는 표현이 엄청나게 광범위한 느낌인데, 일단 가정을 꾸리셨으니 아이도 준비중이실까요? 그렇다면 아이를 언제 낳는 게 좋을지, 아이를 나으면서 집은 어떻게 마련(또는 이사)할지, 자녀를 키우면서 언제까지 양육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자금은 얼마일지, 또한 노후준비를 위해 어느 정도를 모아놓아야 할지, 디테일하진 않더라도 대략적인 구상을 함께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