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내추럴한부엉이134
내추럴한부엉이134

한국은행 기준금리와 은행금리가 불일치?

안녕하세요?내추럴한부엉이134입니다.

때가 되면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인상인하처리를 합니다.

그런데 지금 한국은행 기준금리보다 일반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낮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와 시중금리는 서로 다른 개념이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기 위해 결정하는 금리입니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조절함으로써 금리의 추세를 조절하고, 경제 활동을 촉진하거나 억제하여 경제적 안정성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시중금리는 은행이 서로 자금을 유동적으로 융통시키며 형성하는 금리입니다. 은행은 예금을 받아서 대출을 하기 때문에, 예금이 많을수록 대출이 증가하고, 대출이 증가할수록 시중에 유출되는 자금의 양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은행은 시중에 유출되는 자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금리를 조절합니다. 시중금리는 대출의 수요와 공급, 또는 시장 경쟁 상황에 따라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의 금리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기본적으로 반영하나 향후 금리의 예측 가능성도 반영합니다. 따라서 향후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면 시중 은행의 적금금리도 함께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만 정합니다. 시장금리는 기준금리를 기초로 하지만 완전히 다릅니다. 시장 참여자들의 향후 금리 방향에 대한 심리가 반영된 금리입니다. 쉽게 말해 미국의 2년물 금리와 10년물 금리가 다른 이유가 그거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한국은행과 시중은행간에 거래되는 RP금리를 결정하는 것이며, 이러한 기준금리는 절대적인 금리 값이 아니라 해당 국가의 '가이던스 금리'에 일종이 됩니다.

      그렇기에 은행들은 이 기준금리라는 가이던스 금리에 따라서 향후 금리의 방향을 예측하게 되는데, 이 기준금리에 따라서 은행들은 자율적으로 금리를 결정하게 됩니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더라도 향후 금리가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중은행들은 금리를 오히려 낮추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 현재 기준금리가 정점에 다다르고 향후 연말까지 금리가 동결된 후 상승할 가능성보다는 인하될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다 보니 시중은행들은 기준금리보다 낮은 금리의 예금금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향후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되어 한은이 설정한 기준금리보다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