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인구 급감 지역경제도 위기일까요
한국 제2의 도시인 부산이 청년 인구 유출과 저출산으로 인해 지방 소멸 위기를 맞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요 부산 지역경제를 살릴 방안이 잇나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의 인구가 급감하는 이유는 일자리 문제가 가장 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부산의 경우 일자리가 적어 젊은 층의 부산에 남는 것이 아닌 일자리를 찾아서 대도시 등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며,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산시청이나 관련 부서들에서 일자리를 유치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기존에 있던 기업도 유지를 못하는 것을 봤을떄 단기적으로 부산에 젊은층의 유입이나 유출을 막지 못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하여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여야 청년인구도 늘어나고
더이상의 인구급감이 없지 않나 싶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 인구 감소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수도권으로의 청년 인구 유출입니다. 부산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어, AI, 로보틱스 같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 산업 일자리가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이는 청년들이 취업 기회를 찾아 부산을 떠나게 되는 직접적인 원인입니다. 일부 지역은 노후화된 주거 환경과 부족한 문화 인프라로 인해 청년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은 도시가 되고 있습니다. 이는 인구 유출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입니다.
부산시는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구해야 합니다. 신성장 산업 육성, 기업 유치 및 창업 지원, 주거 및 문화 환경 개선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부산의 인구 급감이 지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인구수는 그냥 인구 숫자만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단 소비자로서의 인구이며 동시에 생산자로서의 인구인데
이런 인구가 줄면 소비도 줄고, 생산도 줄고, 직장은 더 줄게 되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핵심은 북극항로를 개척하고 만약 알래스카 사업에 뛰어들경우 부산이 핵심거점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러우전쟁이 종결되고 러시아와의 북극항로사업이나 러시아의 재건사업이 매우 중요할 수 있는데 이때 한국이 주요 협력으로 이런 사업을 진두지휘한다면 부산이 핵심 거점이 될 수 있습니다
알래스카 LNG사업도 실제로 이행을 하게되면 이런 LNG수소의 교역료와 물류거점이 부산이 된다는것입니다 즉 향후 에너지의 안정적인 조달과 경제 물류의 핵심으로서 키우는게 중요합니다 이런 형태가 되면 알아서 청년이나 일자리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망해가는 거제도가 이번에 한화오션으로 엄청나게 다시 부흥을 하는것처럼 일자리의 증가와 그리고 앞으로의 주요사업적 거점이 된다면 경제적인 유인이 생기므로 알아서 활성화가 됩니다 이런 교두보를 정부에서 적극 뒤에서 보조하거나 지원하는게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은 청년 유출과 저출산으로 인구가 9년간 60만 명 감소하며 소멸위험지수 0.490으로 위기에 직면했다.
지역경제는 자영업자 11.3% 감소, 상권 공실률 25.6%로 침체 중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으로 AI, 바이오 등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
청년 주거 지원 확대를 통한 정착 유도,
문화·관광 활성화로 지역 매력 제고,
가족 친화 기업문화 지원으로 인구 유입을 촉진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은 청년 인구 유출과 저출산으로 노동력 감소, 소비 축소가 이어질 경우 지역 내수 기반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기업 투자 유치, 주거 환경 개선, 청년 일자리 확대가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은 예전부터 인구 유출이 심했지만 최근엔 속도가 더 빨라졌습니다. 청년층이 서울로 몰리고 출산율은 전국 최저 수준이라 인구 구조가 급격히 늙어가고 있습니다. 인구가 줄면 소비가 줄고 기업 투자도 위축되니 지역 상권이 버티기 힘듭니다. 항만 물류나 조선 해양 같은 전통 산업만으로는 예전만큼 일자리 창출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IT나 콘텐츠 산업 유치 얘기가 자주 나오지만 정착하려면 교육과 생활 인프라부터 바꿔야 합니다. 인구와 산업이 같이 움직이지 않으면 돈이 도는 구조를 만들기 어렵습니다.